황윤희 의원 대표발의 결의안 만장일치로 채택
기존 송전탑 350기 외 459기 추가 건설 반대
"대기업 전력공급 위한 일방적 희생 더는 못참아"

안성시의회는 3월17일 임시회에서 황윤희(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송전선로 건설 반대 결의안을 의원 전원찬성으로 채택했다. (사진=안성시)
안성시의회는 3월17일 임시회에서 황윤희(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송전선로 건설 반대 결의안을 의원 전원찬성으로 채택했다. (사진=안성시)

[일간경기=이국진 기자] 안성시의회가 정부의 345kV 송전선로 건설 계획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시의회는 3월18일 임시회에서 황윤희(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송전선로 건설 반대 결의안을 의원 전원찬성으로 채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이 추진 중인 3개 송전망 건설 계획은 신원주-동용인(60km), 신중부-신용인(74km), 북천안-신기흥(72km) 노선이다. 이들 노선은 안성시를 동서축과 남북축으로 관통하며 새로 설치될 송전탑만 459기에 달한다.

안성지역에서 송전선로가 지나갈 예정인 지역은 신원주-동용인선의 경우 일죽·죽산·삼죽·보개면이며, 남북축 두 개 노선은 서운·금광·보개·고삼면이다.

시의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안성시민들은 이미 6개 변전소와 350여 기의 송전탑으로 인한 피해를 감내하고 있다"며 "용인 SK반도체산단과 삼성 국가산업단지, 수도권 데이터센터 등 수도권 전력수요 해결을 위해 또다시 희생을 강요받고 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이번 송전선로는 전남 해남과 광양에서 출발해 인천과 기흥까지 이어지는 장거리 송전을 위한 것으로 국토 균형발전에도 역행한다는 지적이다.

시의회가 지적한 주요 문제점은 △주민 건강권 침해 △자연환경 훼손 △관광업·농업 피해 △부동산 가치 하락 등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이미 고압송전선로의 극저주파 전자파를 발암가능성 물질로 분류한 바 있다.

황윤희 의원은 "전력 다소비 기업과 데이터센터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많은 지방으로 이전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며 "정부는 수도권 집중을 심화시키는 현재의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의회는 정부와 관계기관에 송전선로 건설계획 전면 백지화와 데이터센터 지방이전 의무화 법안 제정, 기존 송전선로의 지중화 추진 등을 요구하고 "주민 의견을 무시한 강행 시 결사항전으로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