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100여 명과 긴급 간담회서 '재심의 청구' 공식화
"다리 건설비 낸 건 영종 주민..'영종하늘대교' 사수할 것"

중구는 11월22일 오후 중구 제2청 대회의실에서 영종·용유 지역 주민 100여 명과 '제3연륙교 명칭 관련 주민-중구청 간담회'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해 국가지명위원회에 재심의를 공식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중구)
중구는 11월22일 오후 중구 제2청 대회의실에서 영종·용유 지역 주민 100여 명과 '제3연륙교 명칭 관련 주민-중구청 간담회'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해 국가지명위원회에 재심의를 공식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중구)

[일간경기=이복수 기자] 오는 2025년 말 개통 예정인 제3연륙교(영종~청라)의 명칭을 두고 인천시가 '청라하늘대교' 손을 들어주자, 인천 중구가 이에 불복해 국가지명위원회에 재심의를 공식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중구는 11월22일 오후 중구 제2청 대회의실에서 영종·용유 지역 주민 100여 명과 '제3연륙교 명칭 관련 주민-중구청 간담회'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했다. 이번 간담회는 인천시 지명위원회가 지난 12일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재의결한 데 따른 중구의 향후 추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구는 △연륙교 명칭 선정의 관례적 타당성 △ 교량의 실제 이용 주체 △ 위치적 정체성 및 상징성 △ 관광 자원화 사업 축소에 따른 대안 마련 △ 영종 주민의 사업비 분담 등을 근거로 주민 공모 절차를 거쳐 '영종하늘대교' 명칭을 도출했다. 이 명칭은 인천시 지명위원회에 두 차례 상정됐다.

특히 중구는 △관광 자원화 사업 축소에 따른 현실적 대안 필요성 △ 관문 도시로서 희생을 감내한 영종지역에 대한 정책적 보상 필요성 △ 사업비 분담 비율 등을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주민들도 '청라하늘대교' 명칭의 불합리함에 공감하며 국가지명위원회 재심의를 요구했다.

중구는 주민 뜻을 확인한 만큼 인천시 지명위원회의 공식 통보가 오는 즉시 국가지명위원회 재심의를 위한 행정 절차에 돌입할 계획이다.

김정헌 구청장은 "제3연륙교가 영종과 인천 발전의 주춧돌이 되길 바란다"라며 "주민 뜻을 모아 명칭이 교량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명확히 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91조의3 제2항에 따르면 구청장은 시·도지사의 재심의 결과에 이의가 있을 경우 통보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재심의를 청구할 수 있다.

한편 제3연륙교는 인천 서구 청라동(청라국제도시)과 중구 중산동(영종국제도시)을 잇는 총연장 4.68km(해상교량 3.54km), 폭 30m의 왕복 6차로 교량이다. 지난 2020년 12월 착공해 오는 2025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다.

이 교량의 가장 큰 특징은 '관광형 다리'라는 점이다. 자동차 전용도로인 영종대교, 인천대교와 달리 제3연륙교는 보도와 자전거 도로가 함께 설치된다. 바다 위를 걸어서, 혹은 자전거를 타고 건널 수 있는 체험형 관광 명소로 설계됐다.

특히 교량 주탑에는 세계 최고 높이인 180m의 전망대가 설치돼 서해의 낙조를 조망할 수 있으며, 야간 경관 조명 등 다양한 볼거리가 조성될 예정이다. 개통 시 영종국제도시에서 서울 여의도까지 이동 시간이 30분대로 단축돼 교통 편의성 또한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이번 명칭 갈등의 불씨가 된 '사업비' 규모는 약 6500억원에 달한다. 주목할 점은 이 막대한 건설비의 출처다. 국비나 시비가 주를 이루는 일반 교량과 달리, 제3연륙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인천도시공사(iH)가 영종·청라국제도시 토지 조성 원가에 반영한 광역교통개선대책 분담금으로 충당됐다.

영종과 청라 주민들이 "우리 집 분양가에 다리 건설비가 포함돼 있다" "사실상 주민들이 돈을 걷어 지은 다리"라고 주장하며 교량 명칭에 지역 정체성을 강력히 요구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