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명위원회에 재심의 청구
[일간경기=이복수 기자] 인천 중구가 인천시 지명위원회의 제3연륙교 공식 명칭 ‘청라하늘대교’ 재의결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국가지명위원회에 재심의를 청구했다.
김정헌 인천 중구청장은 12일 “청라하늘대교 재의결은 18만 중구 구민의 민의를 저버린 불합리한 결정”이라며 “제3연륙교 명칭이 합당하게 정해지도록 국가지명위원회에 재심의를 공식 청구하겠다”라고 밝혔다.
중구는 지난해 8월부터 △주민 공모 △ 전문가 심사 △ 주민 선호도 조사 등 민의 수렴 절차를 거쳐 ‘영종하늘대교’와 ‘하늘대교’를 구 대표 명칭으로 선정해 지명위원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인천시 지명위원회는 지난 7월 회의에 이어 이번에도 ‘청라하늘대교’ 명칭을 고수했다.
중구는 이번 결정이 강화대교 △ 강화초지대교 등 다른 연륙교 명칭 사례에서 66%가 섬 명칭을 따르는 관례를 어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제3연륙교의 도착지인 ‘영종’ 위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청라’만 반영한 것은 부당하다고 밝혔다.
사업비 분담 비율이 영종 3000억 원 △ 청라 3000억 원으로 동일한 점과 제3연륙교 개통으로 실질적 생활 변화를 겪는 주체가 영종 주민이라는 점에서 ‘영종’ 명칭이 우선 반영돼야 한다고 중구는 설명했다.
또 제3연륙교의 주요 이용 주체가 영종 주민과 인천공항 △ 영종·용유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인 점에서 지역 상징성을 나타내는 ‘영종’ 명칭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종국제도시는 인천공항으로 입국하는 이들이 처음 마주하는 관문 도시인 만큼 제3연륙교의 국제성과 정체성 확립에도 ‘영종’ 명칭이 최우선 고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구는 영종지역 ‘제3연륙교 관광 자원화 사업’이 최초 계획보다 크게 축소된 점과 영종이 경제자유구역임에도 송도 △ 청라보다 발전에서 소외된 점을 들어 이번 결정이 균형 발전 기조에도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제3연륙교가 영종과 청라 양측 주민 모두에게 중요한 생활 인프라이자 상생 △ 화합 △ 교류의 토대임에도 ‘청라하늘대교’ 명칭 재결정은 불필요한 지역 갈등을 유발했다고 중구는 밝혔다.
김정헌 구청장은 “명칭 선정은 단순 감정 문제가 아니다”라며 “제3연륙교가 영종과 인천, 대한민국 발전의 주춧돌이 되기 위해서는 교량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명확히 확립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중구는 공식적으로 국가지명위원회 재심의 절차를 밟아 특정 지역에 치우치지 않은 합리적 명칭으로 재검토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