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지역 주민이 3천억원 건설비 부담·주 이용자인데 정체성 배제"
"연륙교는 섬 이름 따르는 게 관례... 18만 중구민 뜻 저버린 일방적 결정"
[일간경기=이복수 기자] 인천 중구의회가 11월18일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재의결한 인천시 결정에 강력 반발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중구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지역 간 형평성과 중구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영종'의 지역 상징성을 배제한 일방적 결정"이라며 "18만 중구민들의 뜻을 또다시 저버린 인천시의 일방적인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중구의회는 영종지역 주민들이 건설 비용을 부담했음에도 명칭에서 배제된 것에 대해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
성명서는 "제3연륙교는 유료도로로 인한 이동의 제한 속에서도 불편과 불합리함을 묵묵히 감내하며, 건설 비용까지 부담해야 했던 영종지역 주민들의 헌신과 노력, 그리고 오랜 염원이 빚어낸 소중한 결실"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생계유지 등 일상 활동을 위해 해당 교량을 가장 많이 이용하게 될 주 이용자가 영종지역 주민이라는 점을 들어 영종의 정체성 반영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중구의회는 또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연륙교의 명칭은 강화대교, 무의대교 등과 같이 섬의 이름을 따르는 것이 관례"라며 "3천억원이 넘는 건설사업비를 부담한 영종지역 주민과 영종의 정체성은 물론, 그간의 관례마저 무시한 일방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중구의회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91조의3제2항에 근거해 중구청의 국토교통부 재심의 청구를 촉구했다.
이 조항에 따르면 시장·군수·구청장은 시·도지사의 재심의 결과에 대해 이의가 있는 경우, 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재심의를 청구할 수 있다.
중구의회는 성명서에서 △중구청의 국토교통부 제3연륙교 명칭 재심의 조속 청구 △인천시의 국토교통부 공정하고 객관적인 명칭 선정 요청 △국토교통부의 국가지명위원회 조속 개최를 통한 영종의 상징성과 정체성을 담은 명칭 명명 등을 강력히 촉구했다.
한편 인천시는 12일 지명위원회에서 '청라하늘대교'를 재의결하며 "서구의 '청라'와 중구의 '하늘'을 결합한 명칭으로, 양 지역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조화롭게 담고 있다"고 밝혔다.
제3연륙교의 명칭 결정 과정은 중구와 서구 간 치열한 힘겨루기 속에서 진행됐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지난 6월23일부터 7월6일까지 8398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시민 선호도 조사에서 '청라하늘대교'가 46%로 1위를 차지했다.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지명위원회는 7월28일 첫 의결에서 '청라하늘대교'를 결정했다.
하지만 중구는 '영종하늘대교'를 제안하며 영종이 명칭에 빠진 것은 지역 간 형평성이 훼손된다고 주장했다. 서구는 '청라대교'를 제안하며 '하늘'이라는 단어가 보통명사라 간결성과 사용 편의성이 떨어진다고 반박했다.
양측의 재심의 요청에 따라 인천시 지명위원회는 11월12일 재회의를 열어 '청라하늘대교'를 재의결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명칭 결정이 지역사회의 오랜 갈등을 해소하고 하나된 마음으로 상생과 협력을 통해 인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범석 서구청장은 "청라대교가 됐으면 가장 좋았겠지만, 시의 결정이 갖는 무게감과 신뢰성을 감안해 이번 결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구는 여전히 유감을 표하며 국가지명위원회에 재심의를 청구할 계획이다.
한편 인천 제3연륙교는 영종도와 청라국제도시를 잇는 해상 교량으로, 총 길이 4.68km·왕복 6차로로 2021년12월 착공해 약 4년 만에 내년 1월5일 개통 예정이다. 사업비 7700억원이 투입됐고, 주탑 높이 184.2m로 국내 강재 주탑 교량 최고 기록을 세운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