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 송전선 전면 재검토 촉구
[일간경기=이국진 기자] 안성시 범시민 비상대책위원회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을 위한 송전선 건설에 반대하며 정부에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이들은 10월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망국적인 수도권 집중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및 일방적인 초고압 송변전시설 전면 재검토’ 기자회견에 참석해 “비수도권 지역을 전력 식민지화하는 정책은 중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정효양(안성 범시민대책위 위원장), 이용성(사무국장), 강우전(송전선로 분과위원장), 황윤희·이관실 안성시의회 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전기도 물도 부족한 지역에 16GW 규모 전력수요를 떠안긴 졸속 사업”이라며 “기후위기 시대에 역행하는 초고압 송전망 남발 정책은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 후에는 국회 토론회에 참석해 용인 산단 전력 집중 문제를 논의했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안성을 포함해 영암·남원·무주·금산·정읍·완주·진안·장수·고창·임실·신안·목포 등 12개 지자체의 반대대책위원회가 함께했다.
이들은 한전이 추진 중인 345㎸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계획을 ‘비수도권 전력 식민지화’로 규정하고, “장거리 송전 최소화·수도권 전력 분산·지역 참여형 전력정책”을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 기후행동, 정의당 등 시민단체도 동참했다.
황윤희(안성시의회) 의원은 “초고압 송전선 건설은 효율성과 안전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킨다”며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그 지역에서 사용하는 ‘지산지소’ 원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효양 위원장은 “전국 각지에서 같은 피해를 겪는 지역들이 함께하니 든든하다”며 “서명운동을 확대하고 전국대책위가 꾸려지면 공동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 후 열린 전국 반대대책위원회 연석회의에서는 △전국대책위 구성 △지역별 입지선정위원회 공동 대응 △정책 재검토 촉구 활동 등 강도 높은 투쟁 방안이 논의됐다.
이들은 “이재명 정부가 윤석열 정부의 정책을 그대로 답습하지 말고, 기후위기 시대에 걸맞은 분산형 전력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