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경기=박남주 기자] 김경일 파주시장이 6월17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이후 접경 지역 주민들이 일상을 회복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방송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현장을 방문해 지시한 후 대북 방송이 멈췄고, 다음 날 곧바로 북한의 대남 방송도 중단됐다”며 “대성동과 통일촌 등 접경 지역 주민들이 ‘이제야 잠 좀 자겠다’며 환호했다”고 전했다. 그는 “거의 1년 가까이 고통받아 온 시민들의 스트레스가 극심했다”며 “소리는 마치 귀신 부르는 소리 같고, 데시벨도 높아 제대로 된 수면이 불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수도권 시민들에게는 생소한 접경 지역 주민의 고통을 강조하며 “서울에서 이런 소리가 났다면 이렇게까지 방치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이들 역시 국민인데, 왜 이등 국민 취급을 받느냐는 생각에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으로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는 가운데, 대북전단 살포 문제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시장은 “최근 납북자 단체가 헬륨가스를 가지고 임진각을 찾았고, 이와 관련된 움직임이 계속 감지되고 있다”며 “대북전단 살포 시도를 막기 위해 파주시 공무원과 시민들이 현장에서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경찰, 경기도 특사경과 공조해 현장을 지키고 있으며, 관련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 시장은 6월16일 대북전단 살포에 대비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24시간 대응체제를 가동한 내용을 설명하며 “파주는 재난안전법상 위험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대북전단 살포 시 1년 이하 징역이나 1000만원 이하 벌금형이 가능하다”며 “법적 처벌을 강력히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헬륨가스 같은 위험 물질을 일반인이 취급하는 경우, 현행범 체포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 시장은 “과거에는 경찰과 군이 방관하거나 채증만 했지만, 정권이 바뀌고 지금은 대응 기조가 달라졌다”며 “통일부, 경기도 등과 협의해 실질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엔 통일부와 아예 대화조차 어려웠지만, 이제는 대화가 가능한 분위기”라며 “앞으로 평화와 협력의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끝으로 “시민의 안전과 접경 지역의 평범한 일상이 가장 중요하다”며 “정치적·이념적 갈등보다 실질적인 평화와 민생을 우선시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