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급식비 전환 관련
"지역상품권 지급 전환을
지역상권 활성화 염두도"

포천시의회 연제창 부의장이 6월12일 자치행정과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포천시의회)
포천시의회 연제창 부의장이 6월12일 자치행정과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포천시의회)

[일간경기=김순철 기자] 포천시의회 연제창 부의장이 최근 시청 구내식당 운영 방식을 두고 제기된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연 부의장은 구내식당 문제의 본질은 공무원 복지 축소가 아니라 지역상권 활성화와 형평성에 대한 고민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연 부의장은 6월12일 열린 자치행정과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구내식당의 저렴하고 질 높은 식단이 오히려 인근 지역 상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급식비를 지역상품권으로 지급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 발언 이후 일부 포천시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공무원의 복지 혜택을 건드리는 것이 아니냐"며 반발이 이어졌다.

이에 연 부의장은 하루 뒤인 6월13일 입장문을 내고 "공무원의 복지 확대 자체를 반대하는 입장은 전혀 아니다"라며 "오히려 고된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에게 적절한 복지 혜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현재 구내식당은 본청 일부 직원 약 200여 명만 이용 가능하고, 외청이나 읍·면·동 직원 등 대다수 공무원 1300여 명은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복지라면 모든 직원에게 형평성 있게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이유로 구내식당 직영 운영 대신 지역화폐 지급 방식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연 부의장은 특히 "이 방안은 모든 직원이 복지 혜택을 골고루 누리면서 동시에 지역 상권도 활성화할 수 있는 상생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연 부의장은 입장문에서 자신을 둘러싼 비판과 관련해 "본인을 향한 인신공격성 비판은 차치하더라도, 공직자로서 지역 상인에 대한 '장사가 안돼 징징댄다', '맛이 없어서 망하는 것 아니냐'는 식의 거친 언사는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무원의 목소리도 시민의 목소리지만, 경제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상인의 목소리 역시 시민의 목소리"라며 "지역이 살아야 공무원도 존재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연 부의장은 "이 문제는 공무원 복지를 둘러싼 논쟁이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와 상생의 차원에서 논의돼야 한다"며 "공직자들도 이러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봐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