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전략지구 70만 평 우선 개발..2030년 완료 목표
첨단기업 유치·청년주택 공급 등 ‘직주락학’ 도시 조성
이재준 시장 "과감한 규제 철폐로 민간 참여 이끌 것"
[일간경기=김희열 기자]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9월17일 미래 철도망과 연계해 관내 22개 역세권을 주거·일자리·문화가 융합된 ‘콤팩트시티’로 개발하겠다는 도시 혁신 구상을 발표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모든 광역 철도망이 완공되면 수원의 전철역은 22개로 늘어난다"며 "22개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세계가 주목하는 콤팩트시티의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시는 우선 수원역, 화서역, 북수원역 등 9개 역세권 230만㎡(약 70만평)를 전략지구로 설정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사업을 본격화해 203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개발은 도심·환승역세권의 상업 기능을 강화하는 ‘도심복합형’, 대학가 인근의 자족 기능을 높이는 ‘일자리형’,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생활밀착형’ 등 지역 특성에 맞춰 추진된다.
이 시장은 "개발의 걸림돌이었던 용도지역, 용적률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고 인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등 민간·공공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역세권 개발에 따른 지역 불균형 문제, 교통 대책, 그리고 과거 추진됐던 트램 사업과 최근의 여야정 공동 선언에 대한 심도 있는 질문들이 오갔다.
역세권 중심의 개발이 자칫 비역세권 지역과의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이재준 시장은 "이번 사업은 민간 재원을 중심으로 추진되며, 시 재원은 계획 및 컨설팅 비용 등 '시드 머니'에 한정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개발 후 공원, 주차장 등 공공시설 관리비가 일부 발생하지만, 이는 민간투자로 시설을 확보하는 이점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라며 시민을 위한 투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밀도 개발로 인한 교통량 증가 문제에 대해서는 사업의 핵심이 '15분 도시' 조성에 있다고 답했다. 이 시장은 "개발의 목표는 자동차 이용을 줄이고, 권역 내에서 생활하며 전철 등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 것"이라며, 교통 문제를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결하기 위한 개발임을 분명히 했다.
9개 역세권 개발의 착공 시점에 대한 질문에 이 시장은 "우만역과 북수원역의 공공개발 부분은 내년에 착공이 확정적"이라며 , "민간이 주도하는 나머지 구역도 신속한 인허가 지원을 통해 사업을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수원 시민의 염원인 '트램'이 계획에 없다는 지적에 이 시장은 "125만 시민 중 트램을 가장 하고 싶은 사람이 바로 나일 것"이라며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2010년부터 트램 도입을 추진했으나 법적 규제에 막혔고, 16년에 걸쳐 관련 법 3개를 개정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하지만 가장 큰 걸림돌은 재원이었다. 사업비가 초기 2500억원에서 현재 4000억원 이상으로 급증한 반면 국비 지원이나 민간 투자 유치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시 재정만으로 4000억원을 투입하기는 버거운 실정"이라면서도 "트램이 도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확신은 변함없으며, 재원 마련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수원시가 이뤄낸 '여야정 공동 선언'의 의미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이 시장은 "기초지자체 차원에서 여야와 정부가 함께 정책을 선언한 것은 대한민국 최초"라며 그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협치를 통해 재정과 제도가 필요한 4대 민생 사업이 추진된다. 주요 내용은 △첫째 아이를 포함한 출산지원금 확대, △70세 이상 어르신 및 미취업 청년 무상교통,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포진 무료 접종, △11~18세 여아 생리대 지원이다.
이 시장은 필요한 재원을 "지방채 2000억원 상환에 따른 이자 비용 절감액과 리스 자동차 회사 유치를 통한 신규 세수 발굴 등으로 마련했다"고 설명하며 앞으로도 시민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