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주민대책위, 이재명정부 국정과제 확정 환영
환경정의 상징‧글로벌 기후 위기 대응 모델 거듭나야

인천 서구 검단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27일 이재명 정부의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국정과제로 확정한 것에 대해 환영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사진=검단대책위)
인천 서구 검단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27일 이재명 정부의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국정과제로 확정한 것에 대해 환영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사진=검단대책위)

[일간경기=김성웅 기자] 인천 서구 검단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8월27일 이재명 정부의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국정과제로 확정한 데 대해 환영 입장을 밝혔다. 주민들은 이번 결정이 지난 수십 년간 환경 피해와 고통을 감내하며 싸워온 검단주민들의 노력과 인내의 결과라며, 매립지를 환경정의와 기후 위기 대응의 상징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도권매립지종료 검단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 30여 명은 이날 수도권매립지 드림파크 스포츠센터 진입로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대책위는 성명서에서 “수도권매립지가 대한민국 인구 절반이 배출한 쓰레기를 묻어온 공간일 뿐 아니라 이를 자원화하며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한 현장”이라며 “이제 이곳은 단순한 매립지가 아니라 환경정의의 상징, 글로벌 기후 위기 대응의 모델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책위는 매립지 사후 활용과 관련, “앞으로의 활용은 무엇보다 주민의 다양한 목소리와 요구를 온전히 담아내는 과정이어야 한다”며 “모든 주민이 참여하는 민주적·개방형 협의체를 구성, 집단지성이 발휘되는 투명한 공론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단발적 결정으로 매립지 활용이 마무리돼서는 안 되며 장기적이고 심층적인 사후관리 체계가 병행돼야 한다는 점도 역설했다.

이번 성명서는 수도권매립지 종료 이후 활용 방안에 대해 주민들의 공식 입장이 담긴 것으로 향후 정책 수립 과정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된다.

심영금 대책위원회 상임이사는 “수도권매립지는 지난 수십 년간 지역 주민들에게 환경적 고통을 안겨주었으나 이제는 주민에게 다시 돌려주어야 한다”며 “그래야만 매립지 활용이 공공적 가치와 지역의 지속가능한 미래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