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시민 중심 기후위기 대응 활동을 지원하는 ‘광명시 1.5℃ 기후의병 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시민 주도의 탄소중립 도시 구현에 나섰다. (사진=광명시)
광명시가 시민 중심 기후위기 대응 활동을 지원하는 ‘광명시 1.5℃ 기후의병 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시민 주도의 탄소중립 도시 구현에 나섰다. (사진=광명시)

 [일간경기=박웅석 기자] 광명시가 시민 중심 기후위기 대응 활동을 지원하는 ‘광명시 1.5℃ 기후의병 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시민 주도의 탄소중립 도시 구현에 나섰다. 시는 지난 4일 조례를 공포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례는 시민들의 탄소중립 활동 참여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핵심 내용은 시민 기후행동 실천단인 ‘광명시 1.5℃ 기후의병’을 정책의 주체로 명시한 점이다. ‘1.5℃ 기후의병’은 지구 온도 상승 1.5℃ 제한을 목표로 2021년 구성됐으며, 현재 약 1만4300명과 51개 단체가 가입해 활동하고 있다.

조례는 시민 중심 탄소중립 실천을 정책 중심에 두겠다는 의지를 반영해 ‘시민이 이끄는 탄소중립 도시’라는 정책 방향을 명확히 했다. 특히 광명시장은 ‘1.5도 기후의병 총사령관’으로 지정돼 탄소중립 실천과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시행과 기후의병 지원책 개발 및 활동 지원 책임을 맡는다.

광명시가 시민 중심 기후위기 대응 활동을 지원하는 ‘광명시 1.5℃ 기후의병 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시민 주도의 탄소중립 도시 구현에 나섰다. (사진=광명시)
광명시가 시민 중심 기후위기 대응 활동을 지원하는 ‘광명시 1.5℃ 기후의병 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시민 주도의 탄소중립 도시 구현에 나섰다. (사진=광명시)

기존 ‘광명시 탄소중립센터’ 명칭도 ‘광명시 1.5℃ 기후의병 지원센터’로 변경했다. 지원센터는 시민참여 탄소중립 정책 관련 사업계획 수립 △ 교육 제공 △ 시민참여 활성화 체계 구축 등의 역할을 확대할 계획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시민의 기후위기 대응 활동 지원을 제도화한 것은 탄소중립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시민 참여가 꼭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이번 조례가 일상 속 기후행동 확산과 시민 주도 탄소중립 도시 실현을 위한 든든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7월 중 주요 11개 행사에 기후의병이 직접 참여해 다회용기 사용 △ 재활용 분리배출 등 현장 기후행동 실천 여부를 확인하는 ‘탄소중립 실천 모니터링’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