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보다 376억원 늘려 677억원 긴급재정지원
9개시·1개동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청
[일간경기=김인창 기자] 경기도가 폭설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게 1인당 최대 1천만원의 긴급생활안정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6일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11월 폭설 피해 복구와 민생 회복과 관련, 종전에 발표한 지원 예산 301억5천만원보다 376억원 증액한 677억5천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증액된 지원금은 소상공인 긴급생활안정 지원, 응급 복구 및 긴급 조치, 축산 농가 지원 등에 투입되며, 소상공인 긴급생활안정에 3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다.
당초 계획에는 소상공인에게 1인당 재난지원금 300만원과 도 재해구호기금 200만원 등 최대 5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으나, 재해구호기금을 700만원까지 늘려 최대 1천만원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김 부지사는 "이번 추가 지원은 김동연 경기지사가 지난 2일 안성과 평택 등 피해 현장 방문 당시 '필요하다면 더 지원해서라도 이른 시일 안에 복구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결정"이라며 "피해를 본 소상공인, 축산 농가, 농업인 등 민간 분야 피해 복구를 위해 가용 재원을 총동원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도는 축산 농가 지원을 위해 예비비를 종전 20억원에서 50억원까지 늘려 붕괴한 축사 철거, 고립된 가축 구조, 폐사 가축 처리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응급 복구나 제설 장비 구입 등을 위해 시·군에 일괄 지급한 재난기금 73억5천만원은 30억원을 추가해 총 103억5천만원 지원한다.
아울러 도는 안성, 평택, 이천, 화성, 용인, 여주, 광주, 안산, 시흥 등 9개 시와 오산 초평동 등 1개 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조속히 선포해 줄 것을 중앙 정부에 요청했다.
이날 오전 기준 접수된 피해 규모를 보면 안성시가 1천160억원으로 가장 컸고, 화성시 692억원, 평택시 627억원 등의 순이었다.
도내 총피해액은 3천870억원으로 집계됐다.
김 부지사는 "경기도내 시·군과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신속한 피해 복구에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경기도, 27개 시군에 대설 피해 복구비 73억5천만원 교부
- 김동연 지사, 폭설피해 복구 재정 선집행 후정산 강조
- 폭설 휩쓴 안성시..김동연 지사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청"
- 김동연 지사, “눈과의 전쟁..재정 아끼지 말고 총력 대응”
- 오산시, 폭설 피해 관련 특별재난지역 선포 건의
- 평택시, 폭설 피해 관련 재난지원금 선지급 추진
- 화성시, 폭설피해 농·축산, 소상공인 가구 재난지원금 선지급
- 경기도, 폭설피해 농·축산농가, 소상공인에 재난지원금 선지급
- 경기도 6개시 특별재난지역 선포
- 경기도, 특별재난지역 제외 9개시군에 90억원 긴급 지원
- 평택시, 폭설 피해 중소기업에 이차보전금 추가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