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장사시설 건립토론회
장사시설 부재 불편 해소

[일간경기=신동훈 기자] 경기남부 지역 내 50만 대도시 중 유일하게 화장장을 보유하지 못한 평택시에 자연 친화적인 화장장이 건립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1월1일 평택시청 대회의실에서 '시민친화적 종합장사시설 건립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평택시)
11월1일 평택시청 대회의실에서 '시민친화적 종합장사시설 건립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평택시)

11월1일 평택시가 주최하고 평택시기자단이 주관한 ‘시민친화적 종합장사시설 건립토론회’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는 60만 평택시민들이 화장장의 부존재로 ‘원정화장’ 등 불편을 겪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시가 추진하고 있는 종합장사시설 건립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김대환 복지국장은 “지난해 평택시 인구수는 외국인을 포함해 63만여명으로 집계됐으며, 이중 32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라며 “사망자 중 일부는 장사시설의 부재로 인해 타 지역 화장장 이용에 불편함을 겪어 4~5일 동안 장례식을 치르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가 추진한 연구용역에는 매년 3천여명 이상 사망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계되는 만큼 평택지역 장사시설 건립은 필요한 상황”이라며 “토론회에서 제안된 좋은 의견들을 반영해 시민 모두가 만족하는 화장시설을 건립 할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경기연구원 남지현 균현발전지원센터장은 경기도 내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화장장이 없는 평택시와 관련해 ‘늦게 조성하는 만큼 첨단시설을 갖춘 친환경적 화장장을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 센터장은 ”경기 남부지역인 화성, 용인 등 대도시에는 이미 화장시설이 건립돼 있지만 평택에 장사시설이 없다는 것은 이미 늦었다는 것“이라며 ”평택은 경기지역 뿐만 아닌 충청도와 연결되는 지점이라는 측면에서도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는 만큼 도시 의 위상과 또 미래상을 반영할 수 있는 장사시설을 건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범수 전 평택대 교수는 “해외사례를 보면 생활 반경과 화장시설이 인접해 있는 모습을 쉽게 볼수 있는 만큼 화장시설이 ‘님비시설’이라는 인식은 옅어졌지만, 여전히 인식을 개선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며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필수 시설인 장사시설이 우리 일상생활에 스며들 수 있다는 것을 시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기형 시의원은 “코로나를 겪으면서 시민들은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공감대가 어느정도 형성되고 있는 것 같다”며 “시의회도 시민들과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전국적으로 모범적인 종합장사시설을 건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