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 발표
시군급식센터 생산자단체 학부모 즉각 반발
김 지사, 친환경급식 공급망·학생 건강 지켜야
임태희교육감에 재차 보류 요청..보류 이끌어내
[일간경기=김인창 기자] 경기도교육청의 친환경 학교급식 구매 방식 변경 발표에 시군급식센터와 생산자단체, 학부모들의 반발하는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적극적인 중재가 빛을 발해 결국 해당 지침이 전면 보류됐다.
도교육청은 지난 7월 23일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을 수의계약에서 경쟁입찰로 전환하고, 동일 업체와의 수의계약을 연간 5회로 제한하는 지침을 일선 학교에 보냈다. 교육청은 재정 부담 증가와 예산 절감, 독점적 공급 구조 개선을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으나, 시군급식센터와 생산자단체, 학부모들은 즉각 반발했다.
도내 급식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이 공공조달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 중인데 만약 수의계약이 제한되면 이 체계가 무너져 친환경 농산물 재배 기반이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이다.
김 지사는 8월6일 임태희 교육감에게 전화해 지침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고, 7일 오전에는 경기도교육청 앞 규탄대회에 직접 참석해 공동대책위 의견에 지지를 표명했다. 이례적으로 도지사가 교육청 앞 규탄대회에 참석한 것은 친환경 급식 사수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행보였다.
김 지사는 공동대책위와의 면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안전한 식단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학생들의 건강을 경제적 효율성으로 따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지사는 "입찰이 단기적 효율성이 있어 보일 수 있지만, 학교급식의 거버넌스가 무너지면 장기적으로는 이익이 없다"며 "경기도가 예산지원, 예산 우선순위 조정 등 해결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공동대책위와의 면담 후 김 지사는 임태희 교육감과 다시 통화해 지침 보류를 재차 요청했고, 결국 임 교육감은 오전 10시30분께 기자실을 찾아 수의계약 5회 제한 지침을 보류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구매 방식 논란을 넘어 친환경 농가의 생존과 학생들의 건강한 급식을 동시에 보장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였다는 점에서 김 지사의 적극적인 중재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