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특별경제대책 브리핑 열어
이재준 "마비 서민경제 긴급 수혈"
시의회와 의논 예산 최대한 반영
"부족하다면 내년 추경" 강한 의지
[일간경기=김희열 기자] 수원시가 탄핵정국 속 마비된 서민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수원페이 충전한도를 50만원으로 늘리고, 인센티브를 10%~20%까지 대폭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수원시는 12월18일 오후1시30분께 수원시청 별관에서 ‘수원시 특별경제대책 브리핑’을 열었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탄핵정국으로 연말특수가 사라져 골목상권은 벼랑 끝에 몰리고, 중소기업들은 환율상승으로 원자재 수입을 할수록 손해가 커지는 악순환에 빠졌다”며 “수원시는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비상경제 시국에 대한 긴급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의지를 표명했다.
이재준 시장은 "먼저 수원시 지역화폐인 ‘수원페이’의 기존 충전한도 30만원을 다음달부터 50만원으로 늘리고, 결제 금액의 6~7%였던 인센티브(적립금)도 10%로 올리고 설날·추석 명절이 있는 1월과 10월은 20%까지 대폭 상향하겠다"고 밝혔다.
수원시는 이를 위해 올해 지역화폐 예산인 198억원의 2배가 넘는 411억원을 편성했다.
지역화페 관련 예산에 대한 질의에 이재준 시장은 “긴급소집회의까지 열어 시의회와 논의해 내년도 예산심의에 이러한 결과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었다”며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내년 추경을 통해 사업을 운영 하겠다”고 답했다. 또 예산이 조기소진 될시 다음 달 시예산을 집행해서라도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했다.
수원시는 이번 지역화폐 사업을 통해 5200억원 규모의 매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 현 3만6000개의 가맹점을 4만개까지 확대할 수 있다면 매출 효과도 6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 적절한 홍보 시행과, 연 매출 상한인 12억원을 더 상향해 가맹점 범위를 더 늘리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시민은 혜택, 상인은 매출, 지역은 경제 활력을 얻는 선순환구조를 만들겠다”고 이번 지역화폐 인센티브 강화의 취지를 밝혔다.
일자리와 관련 올해 예산에서 50억원이 늘어난 5450억원의 예산을 지금부터 조기 집행해 3만6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노인·장애인·청년과 같은 취약계층에 공공일자리와 민간일자리를 2200개 더 늘릴 예정이다.
또 1년에 10회 개최되던 공공일자리 채용행사를 내년 1월부터 매달 개최하고, 상설면접장을 60회 이상 운영해 시민일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중소기업들의 이자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000억 규모의 새빛융자지원을 통해 이자비용을 절반으로 낮추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대출이자 지원률을 2.0%에서 2.5%로 상향하고, 보증수수료의 보증료율의 1.2%를 지원한다.
혹독한 추위가 예고된 겨울을 대비해 취약계층에 가구당 난방비 10만원이 지원되고, 건강이 좋지 않거나 거동이 불편한 시민들에게 식사를 배달하는 ‘새빛돌봄 식사 배달서비스’ 대상자를 2배 이상 늘리겠다고 밝혔다.
또 취약계층 지원팀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복지자원을 신속히 연계할 예정이다.
주변상권 활성화를 위해 시청과 구청에서 한 달에 한번, 구내식당 문을 닫는 ‘점심시간 외식의 날’을 주 1회로 확대한다. 여기에 내년에 지급하는 공직자 맞춤형 복지포인트의 수원페이 지급액도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확대해 지역상권 이용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재준 시장은 “골목상권을 위해 요즘 유행하는 송년 선결제를 많이 이용해 달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또한 ‘수원시 긴급 민생경제 안정 대책 T/F’를 구성해 문제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 의견을 듣고, 즉각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경기도청의 ‘경기 비상 민생 경제회의’와 별개의 팀으로 운영되며 긴밀한 협력체계를 통해 업무중복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끝으로 이 시장은 “시민과 함께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지켜낸 것처럼, 민생경제를 살려내 시민과 함께 희망의 길을 걷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