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내년 4월까지 '정보화전략' 용역
신설구 출범 전까지 데이터 모의 전환
[일간경기=한동헌 기자]인천시가 2026년 새롭게 출범하는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데이터 전환을 위한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시는 내년 4월까지 행정정보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실시한다고 1일밝혔다.
시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과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용역 위·수탁 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4월까지 행정정보 데이터 전환 및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사업 설계에 필요한 작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정보화전략계획은 현 시스템을 확인하고 변화된 환경·여건, 사업 방향 등에 맞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단계적 기본 계획으로, 주요 내용은 행정데이터 전환(통합·조정·분리) 및 신설구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등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운영 중인 행정정보시스템은 공통 표준(지방재정, 주민등록, 부동산종합공부 등) 19종, 중앙 집중(건축행정, 자동차관리 등) 101종, 시·구 자체 구축(홈페이지, 주정차 단속 등) 277종 등 397종에 이른다.
따라서 중단 없는 대민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행정구역(법정동·행정동) 및 도로명주소 등의 변경, 신설구 예산 편성, 지방세 이관 등 광범위한 행정정보 데이터 전환이 필수적이다.
또한, 행정정보 데이터 전환과 함께 정보·통신 인프라(전산실, 통신실, 홈페이지, CCTV 관제센터 등) 신규 구축(검단구) 및 시스템 증설·이전(제물포구, 영종구) 등 복합적인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인천은 지난 1월 관련 법률제정으로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이 확정됨에 따라 법률 시행일인 2026년 7월 1일 현 중구, 동구, 서구를 제물포구, 영종구, 서구, 검단구로 새롭게 출범할 예정이다.
전유도 시 행정체제개편추진단장은 “이번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은 통합·조정, 분리가 한꺼번에 이뤄지는 전례 없는 개편 사례로, 용역 결과를 토대로 행정정보 데이터 모의 전환 및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등을 철저히 준비 행정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