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97회 제2차 정례회
31일간 의사일정 돌입
[일간경기=김희열 기자] 수원특례시의회가 11월19일 제397회 제2차 정례회를 개회하고 12월 19일까지 31일간의 의사일정에 돌입했다. 이번 정례회는 11월17일 역사적인 신청사 개청식 이후 열리는 첫 회기지만, 마무리 안전점검 등의 절차로 인해 기존 구청사에서 진행된다. 의회는 구청사에서의 마지막 임무인 내년도 살림살이 심사를 차질 없이 완수하겠다는 각오다.
이날 본회의장에서는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의 2026년도 시정연설이 진행됐다. 이 시장은 “2026년 시정 기조는 ‘시민 체감, 수원 대전환’”이라며 “문화관광, 첨단과학연구, 시민의 삶을 3대 핵심 키워드로 삼아 수원 대전환을 앞당기겠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수원시가 의회에 제출한 2026년도 본예산안은 올해보다 10.3% 증가한 3조 5190억원 규모다. 이 시장은 “민선 8기 동안 2300억원에 가까운 지방채를 상환하는 등 재정 운용 성과를 거뒀다”며 이를 바탕으로 여·야·정이 합의한 ‘시민 체감 숙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상생과 협력이 시민 생활 변화에 직결되는 만큼, 의회와 함께 시민의 요구에 대한 해법을 찾겠다”며 시의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에 김정렬 부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화답하면서도 철저한 검증을 예고했다. 김 부의장은 “신청사 개청까지 힘써주신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오늘부터 시작되는 행정사무감사와 예산안 심사에서 시민의 혈세가 헛되이 쓰이지 않도록 사업의 필요성과 우선순위를 꼼꼼히 따져달라”고 동료 의원들에게 주문했다.
한편 이날 본회의에서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 대한 성토도 이어졌다. 이재형(국민의힘, 원천·영통1)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수원시 장안·팔달·영통구 등 3개 구가 규제지역으로 묶였다”며 즉각적인 해제를 촉구했다.
이 의원은 “수원은 실거주 비중이 높음에도 서울과 동일한 규제를 받아 시민들의 주거 사다리가 끊어지고 구도심 정비 사업이 위축될 위기”라며 “규제 근거가 된 통계의 적정성에도 문제가 있는 만큼, 집행부는 ‘특별대책위원회’ 구성 등을 통해 중앙정부에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원특례시의회는 이번 정례회 기간 동안 2024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2025년도 제2회 추경예산안 및 2026년도 예산안, 각종 조례안을 심사한 뒤 오는 12월 19일 제2차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