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의계약 38억원 규모 발주, 35억 서울업체와 계약
전문업체가 충분한 경기도에서 타지역 업체와 계약 논란
[일간경기=김인창 기자] 경기도서관이 최근 수의계약으로 총 19건, 38억원 규모의 용역 사업을 발주하면서, 9건 약 35억원(90% 이상)을 서울 소재 업체와 계약한 사실이 밝혀졌다.
김정영(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국민의힘, 의정부1) 경기도의원은 11월14일 열린 2025년 행정사무감사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도민의 세금이 도민을 위해 쓰이는 책임 있는 재정운용’을 강하게 요구했다.
특히 김정영 의원은 이날 “최근 경기도서관이 수의계약으로 총 19건, 38억 원 규모의 용역 사업을 발주하면서, 이 중 9건 약 35억 원(90% 이상)을 서울 소재 업체와 계약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경기도서관은 서울도서관이 아니고, 경기도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이므로, 도내 업체 대신 서울 업체에 대부분의 예산을 쓰는 것은 경기도의 재정 철학이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정영 의원은 “경기도의 연간 예산은 약 40조 원 규모이나, 이중 도 자체 재원은 절반에 불과하고, 그 대부분은 도민의 부동산 거래에 따른 취득세, 물품 구매 등으로 인한 지방소비세 등에서 발생한다”고 전제하고 “당연히 일감도 도민에게 돌아가는 구조를 만들어야 하고, 정말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도내 기업의 참여 기회 보장·지역업체 인센티브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정영 의원은 “경기도서관 개관 행사 등 각종 행사 진행도 경기도내 업체가 아닌 서울 소재 업체를 중심으로 진행됐다”면서 “경기도는 대한민국 인구의 4분의 1이 살며, 경험과 인력을 갖춘 전문업체가 충분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도 행사 대부분이 외부로 나가는 것은 경기도 스스로 도내 산업 기반과 고용 생태계를 외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윤명희 경기도서관 관장은 “용역 발주과정에서 특정 지역을 지정하여 발주는 하지 않으며, 발주부서가 과업지시서를 작성하고 계약부서가 계약을 진행하는 구조이다”며, 앞으로 “경기도 업체가 우선적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과업지시서부터 꼼꼼히 살펴보겠다”라고 답변했다.
한편 마지막으로 김정영 의원은 “경기도와 공무원, 의원 모두 도민의 세금으로 재정 운영 및 급여 등을 받으면서 공적 책임을 지고 있어 재정악화를 이유로 민생예산을 줄여서는 안된다”며 “도민이 더 잘살게 하려면 일자리·사업 기회를 도민에게 돌려주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우선이고 예산을 ‘우리 가족의 돈’이라는 마음으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성과를 만들어 달라”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