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경기=박웅석 기자] 광명시가 2025~2026년 겨울철 폭설과 한파에 대비해 7개 분야 40개 세부대책을 마련하고 종합 대응체계를 가동했다. 시는 11월 1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보고회'를 열어 부서별 대응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보고회에는 박승원 광명시장과 간부공무원 9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도로교통 △ 기반시설 △ 취약지역 △ 취약계층 보호 △ 쉼터 운영 △ 홍보 △ 현장 대응 등 7개 분야 40개 세부 대책을 집중 점검했다. 시는 지난해 폭설 적설량 37.5㎜와 대설·한파 특보 발효 사례를 분석해 올해는 사전 예방과 현장 대응 중심의 체계를 강화했다.
겨울철 대책기간은 11월 15일부터 2026년 3월 15일까지다. 시는 기상 상황에 따라 평상시 △ 사전대비 △ 비상1단계 △ 비상2단계 △ 비상3단계로 이어지는 5단계 비상근무 체계를 운영한다. 폭설 대비를 위해 제설제 2222톤과 제설장비 33대를 확보했다. 공원 △ 녹지 △ 상수도 시설 점검도 완료해 동파와 결빙 피해를 최소화한다.
대중교통 이용 증가에 대비해 출퇴근 시간대 버스 탄력 운행 △ 실시간 운행 조정 △ 예비 차량 투입 계획도 마련했다. 재해취약지역을 중심으로 농업시설 △ 급경사지 △ 대형공사장 안전 점검을 강화했다. 복지 분야에서는 독거노인 △ 장애인 △ 비주택 거주자 등 겨울철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방문관리와 한랭질환 감시체계를 운영한다. 한파쉼터는 관내 143개소를 개소해 운영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는 겨울철 자연재난 대비를 위한 7개 분야 40개 세부대책을 마련해 도시 전역의 안전망을 촘촘하게 구축했다"며 "폭설과 한파로 시민의 일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선제적 예방과 현장 중심 대응으로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시는 겨울철 대책기간 동안 재난종합상황실 24시간 대응체계를 유지한다. 상황 발생 즉시 판단과 현장조치 시스템을 가동해 사전 점검 △ 협업 △ 즉시 대응 원칙을 강화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