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경기=김희열 기자] 수원시 저연차 공무원 퇴직률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추진한 저연차 공무원 이탈 방지 정책이 성과를 내면서, 2023년 38.7%였던 입직 1~5년 차 공무원 퇴직률은 2024년 30.8%로 떨어졌고, 2025년에는 24.1%까지 낮아졌다. 이는 2023년 대비 약 60% 수준이다.
수원시는 직원 의견을 반영한 공직만족도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만족도 향상 실행계획을 추진했다. 신규 공직자 입문 교육과 '멘토-멘티' 수당 신설 등 소통 활성화 정책을 통해 소통 기반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고 있다. 또한 정원 조정을 통해 승진 적체를 완화하고, 성과·데이터 기반 인사 제도 개선으로 저연차 공무원 퇴직률 감소에 기여했다.
복지 정책도 젊은 공무원 눈높이에 맞춰 강화했다. 맞춤형 복지포인트를 20만 원 인상하고, 국외문화탐방 연 60명 지원과 악기 교습비 최대 30만 원 지원 등을 운영한다. 단순 혜택 확대를 넘어 공직 생활 중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도 마련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공정한 평가와 보상으로 공직을 '버티는 공간'이 아닌 '함께하고 싶은 조직'으로 바꾸려 노력하고 있다"며 "저연차 공무원 퇴직률 하락뿐 아니라 공직사회 전반 체질 개선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어 "안정성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현대 공직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미래지향적 조직 문화를 설계하는 지방정부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김희열 기자
kimhy3668@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