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도시재생혁신지구 선정
국비 최대 250억, 도비 최대 50억 원
주택도시기금을 지원, 건축규제 완화
[일간경기=김희열 기자] 20여 년 동안 지지부진하던 ‘수원 영화 문화관광지구’ 개발 사업이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 상반기 도시재생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공모’에 선정되면서 본격 추진된다. 수원 영화 도시재생 혁신지구는 낙후된 구도심 지역에 관광·상업 거점과 공공·문화 복합 공간을 조성해 지역 활성화와 경제 거점 마련을 목표로 한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상반기 도시재생 혁신지구로 수원시 영화동, 춘천시 근화동, 천안시 성환읍 등 3곳을 선정했다. 이 가운데 수원 영화 문화관광지구는 별도의 조건 없이 선정됐다. 수원시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국비 최대 250억 원, 도비 최대 50억 원과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는다. 건축규제 완화와 행정 지원도 함께 받는다.
수원 영화 도시재생 혁신지구는 장안구 영화동 152-8번지 일원 2만452㎡ 부지에 조성된다. 수원시와 경기도는 수원화성 주변 난개발 방지와 문화시설 조성을 위해 이 부지를 계획했다. 수원시는 2004년 경기관광공사와 공동사업자 협약을 맺고 2007년과 2011년 민간투자사업 공모를 추진했으나 좌절돼 2013년부터 임시주차장으로 활용해왔다.
지난해 6월 수원시는 도시재생 혁신지구 후보지 공모에 신청했고, 7월 경기관광공사와 수원도시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사업 추진에 협력했다. 8월 후보지로 선정됐으며 12월에는 ‘영화 도시재생 혁신지구 T/F 추진단’을 구성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공모에 대응했다. 추진단에는 수원시 관련 부서, 수원도시공사, 경기관광공사, 지역구 국회의원실, 시의원, 도시·건축 분야 총괄계획가 등이 참여했다.
수원시와 경기관광공사, 수원도시공사는 출자로 도시재생 리츠(REITs)를 설립해 사업을 시행한다. 총사업비 2007억 원을 투입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사업을 추진한다. 건축면적 3만8072㎡, 지하 2층·지상 4층 규모로 관광·상업 거점 공간과 공공·문화 복합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관광·상업 거점 공간에는 테마형 숙박시설, 세계유산방문자센터, 소상공인 창업몰, 로컬 브랜드숍 등이 들어선다. 경기관광기업지원센터 유치도 추진한다. 공공·문화 복합 공간에는 주차장 625대, 북라운지, 문화복합홀, 주민 참여형 광장 등이 조성된다. 옥상에서는 다양한 이벤트가 개최된다.
수원시는 영화 도시재생 혁신지구를 글로벌 문화 관광 중심지, 지역상생 및 지역경제 거점, 도시재생 앵커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이번 조성으로 쇠퇴하고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고 지역 주민과 소상공인에게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북수원 지역 전통시장과 행리단길, 수원화성까지 연결하는 관광·상업·문화 허브 공간을 조성한다. 조성 완료 후 관광객은 매년 10만 명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경제적 효과는 취업유발 1456명, 부가가치 유발 746억 원, 생산유발 1834억 원으로 예상된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과 연계해 영화 문화관광지구를 수원 관광의 거점이자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조성하겠다”며 “소상공인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