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공무원, 정책 추진·과업 범위 공유
청년친화도시 전략 및 과제 도출 계획
‘8월 중간보고·9월 간담회·11월 보고회’
12월 2차 청년정책기본계획 확정·공표

파주시는 6월10일 2025년 청년거버넌스 연석회의에서 제2차 파주시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갖고 향후 계획 등에 관한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파주시)
파주시는 6월10일 2025년 청년거버넌스 연석회의에서 제2차 파주시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갖고 향후 계획 등에 관한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파주시)

[일간경기=박남주 기자] 파주시는 6월10일 청년위원회를 비롯한 청년정책협의체와 함께 2025년 청년거버넌스 연석회의를 열어 제2차 파주시 청년정책 기본계획(2026~2030) 수립 연구용역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제2차 파주시 청년정책 기본계획은 「파주시 청년 기본 조례」 제5조에 따라 수립되는 법정 계획으로 향후 정책 추진 방향과 과업의 범위 등을 청년 및 관계공무원들과의 공유를 위해 기획됐다.

이번 연구용역은 이달부터 오는 11월까지 약 6개월간 진행되며 △청년 실태조사 및 정책수요 조사 △타 지자체 및 해외사례 비교 △비전·목표 설정 △이행 로드맵 수립 등으로 특히 청년친화도시 지정을 위한 중장기 전략과 신규 과제도 함께 도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계획은 청년들의 의견을 반영, 정책수립의 참여성과 실행력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며 청년과 전문가들 간 간담회와 집단심층면접(FGI), 온라인 설문 등 다양한 채널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선 제3기 청년정책협의체가 지난 6개월간 준비한 정책 제안 55건을 함께 공유해 △정책기획과 △공간기획 △축제기획 △홍보미디어 등 4개 분과가 제안한 안건 중 일부가 행정 부서 검토와 전문가 자문에서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를 받았다.

대표 제안으론 △운전면허 취득비용 지원 △청년 맞춤형 정책상담 서비스 구축 △청년포털 고도화 △청년공간 소외지역 활성화 등 청년의 실생활에 밀접한 과제들이 포함됐다.

김수태 청년청소년과장은 “이번 착수보고회에서 청년정책이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설계 기반이 마련됐다”며 “청년들이 정책 주체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참여구조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오는 8월 중간보고에 이어 9월 간담회, 11월 최종 보고회를 거쳐 12월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확정·공표해 청년들의 삶 전반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체계를 구축, ‘청년이 머무는 도시 파주’를 실현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