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 어긴 전례 있는 일본 공수표 믿고 등재 찬성"
[일간경기=홍정윤 기자] 박찬대 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은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이 세계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되자 “윤석열 정권은 대한민국 정부인지 일본 총독부인지 헷갈릴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관례상 21개 위원국이 전원 동의해야 등재될 수 있어, 윤 정권이 가부의 열쇠를 쥐고 있었기 때문이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이자 원내대표는 7월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말하고 “정부는 사도광산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 관련 전시물을 설치하겠다는 일본의 공수표만 믿고 덜컥 일을 저질렀다”라고 맹폭했다.
지난 7월27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전원 동의로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일본이 조선인 강제 노역과 관련한 전시물을 설치하고, 방문객 안내 자료도 비치한다’라는 조건 하에 등재를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2020년 6월 사도광산과 같은 강제 노역 현장인 군함도도 유네스코 산업유산에 등록했다. 당시 유네스코는 ‘조선인 강제 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설명하라’라는 조건을 달아 이를 허용했다.
그러나 일본은 강제 노역이라 표기하지 않고 산업에 지원한 한반도 출신 노동자라고 명시해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이미 일본은 약속을 어긴 전례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힘 외교통일위원회는 27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그간 정부는 일본 측이 사도광산의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반영토록 협상을 추진해 왔다’라며 ‘그 결과 일본 측은 한국 노동자들의 강제동원 역사를 담은 새로운 전시물을 사도광산 현장에 이미 설치했고, 향후 매년 추도식을 통해 한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모든 사도광산 노동자를 기릴 방침’이라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민감한 문제에 대해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일 관계의 선순환을 만들어 낸 결과’라고 평가했다.
앞서 민주당은 5월22일~23일 개최한 제22대 국회 당선자 워크숍에서 중점 입법 법안을 논의했다. 이를 토대로 민주당은 6월13일 정책의원총회를 열어 ‘일본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철회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세계유산위원회 개최를 한 달여 남기고 민주당이 불을 지폈으나 막상 화력은 부족했다. 민주당이 ‘채해병 특검법’과 ‘방송 4법’에 집중하는 사이에 일본은 사도광산을 세계문화 유산에 등재시키는 데 성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