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휴수면 활용 500MW급 발전단지 조성 건의
[일간경기=김인창 기자] 김동연 지사는 11월21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서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평택항 항만 배후단지 조성을 위해 준설토를 투기할 예정인 유휴수면 약 727만㎡(220만 평)를 재생에너지 단지로 활용하자고 공식 제안했다.
이날 김 지사가 지목한 부지는 평택항 항만 준설공사 과정에서 나오는 흙을 메우기 위해 계획된 공간이다. 도는 이곳에 수상태양광 등 발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약 500MW(메가와트) 규모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국내 단일 재생에너지 단지로는 최대 규모다.
500MW는 통상 원자력 발전소 1기 용량을 1GW(기가와트)로 볼 때, 원전 절반에 해당하는 막대한 전력량이다. 민선 8기 경기도가 지난 3년간 각종 RE100 정책을 통해 힘겹게 확보한 전체 발전 규모가 1GW인 점을 감안하면, 이번 프로젝트 하나로 그 절반을 단번에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
김 지사는 전 장관에게 평택항 활용의 이점을 조목조목 설명하며 “유휴수면을 잘 활용하면 수도권 재생에너지 확보 문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전재수 장관은 “지사님의 취지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잘 챙겨보도록 하겠다”고 긍정적으로 화답해 사업 추진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번 제안의 배경에는 국내 수출의 버팀목인 반도체 산업의 위기감이 깔려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달성을 요구받고 있으나, 정작 공장이 밀집한 수도권에서는 재생에너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에너지 미스매치’ 현상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앞서 도는 지난 11월11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결에 나선 바 있다. 평택항은 평택·화성·용인 등 반도체 클러스터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어, 이곳에서 생산된 전력을 기업에 공급할 경우 송전 비용 절감과 전력 계통 안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관건은 인허가다. 공유수면 점용 및 사용 허가권 등 핵심 권한을 해수부가 쥐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단순한 제안을 넘어 인허가 절차 간소화와 실무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해수부와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긴밀히 협력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도는 현재 확장 단계에 있는 평택항 항만배후단지 조성계획 단계부터 건물 지붕과 주차장 등 육상 유휴부지에도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방안을 함께 건의했다. 이는 항만 자체 전력 수요를 충당하고 남는 전력을 기업에 지원하는 ‘친환경 스마트 항만’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편 평택시 포승읍 일대에서 추진 중인 평택항 항만배후단지 개발 사업은 총 586만1000㎡ 규모로, 지난 2006년부터 단계별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번 태양광 프로젝트가 성사될 경우 평택항은 물류 중심지를 넘어 대한민국 탄소중립의 전초기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