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용인·화성시 중심 조 단위 투자계획 밝혀
[일간경기=김동현 기자]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경기도에 대규모 투자를 할 계획이다.
16일 이재명 대통령과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만나 한미 관세협상 후속 대책을 두고 의견을 나눈 가운데 총수들은 각 기업의 투자·고용 계획을 소개했다.
특히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그룹 등 3대 그룹이 미래 핵심 산업의 생산 기지로 평택·용인·화성 등 경기남부 지역을 낙점하고 조 단위 투자를 집중하기로 했다.
우선 국내에 5년간 450조원 투자계획을 밝힌 삼성전자는 글로벌 AI 시대 본격화에 대비해 평택사업장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평택 2단지 5라인(P5)의 골조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는 AI 시장 성장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중장기 수요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인 것으로 풀이된다. 5라인은 2028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며, 이로써 평택사업장의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내 전략적 위상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SK그룹 역시 용인을 중심으로 'AI 3대 강국' 비전 실현에 나선다.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을 투자하며, 이 중 핵심인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초대형 규모의 팹(Fab) 4개를 구축한다. 급증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SK그룹은 팹 1기당 최대 2만명에 달하는 막대한 고용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용인에 '트리니티 팹'을 구축해 국내 반도체 소재·장비·부품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도 미래 모빌리티 투자의 중심축을 경기도에 맞췄다. 2030년까지 국내에 총 125조 2000억원을 투자하는 가운데, 기아는 경기도 화성에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생산 거점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AI,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동화 등 미래 신사업 분야 투자의 일환으로, 화성 공장은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