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행정 강화로 시설 운영 효율성 제고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는 재생에너지 시설 운영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부서 간 데이터 공유와 분석체계를 강화하는 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계획을 본격 가동한다 수도권매립지공사 자원에너지화 시설 전경(사진=SL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는 재생에너지 시설 운영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부서 간 데이터 공유와 분석체계를 강화하는 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계획을 본격 가동한다 수도권매립지공사 자원에너지화 시설 전경(사진=SL공사)

[일간경기=김성웅 기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는 재생에너지 시설 운영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부서 간 데이터 공유와 분석체계를 강화하는 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계획을 본격 가동한다고 11월5일 밝혔다.

SL공사는 지난 2023년 12월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 매립가스 발전시설 등 공사가 운영 중인 재생에너지 시설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 운영 중이다.

SL공사에 따르면 이번 계획은 기존의 모니터링 중심 시스템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과학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통합 관리 체계로 확장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생산량, 설비 운전 이력 등 주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부서 간 동일한 기준의 데이터를 공유, 업무 효율성과 데이터 정확성을 동시에 확보할 예정이다.

이번 개선으로 시설 간 정보의 단절을 해소하고 현장 근무자와 중앙시스템 간의 업무 연계가 한층 원활해질 전망으로 행정 효율성이 대폭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Sl공사는 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결과가 의사결정에 직접 반영, 시설 운영의 신속성과 상황 대응력도 강화될 예정이다.

더불어 ‘자원·에너지화시설 데이터 기반 행정 협의체’를 구성, 데이터 품질 검증과 표준 분석모델 발굴, 공공데이터 개방 항목 검토 등 실무형 개선 활동도 추진한다.

특히 협의체를 통해 각 부서가 분산 관리하던 데이터를 상호 공유, 현장 중심의 데이터 분석 지원체계와 협업 문화를 동시에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다.

SL공사 관계자는 “이번 통합모니터링시스템 고도화는 모든 재생에너지 시설이 데이터를 중심으로 협업하는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으로 전환을 의미한다”며 “데이터 공유와 분석을 통해 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