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대오’ 강조하며 찬탄파 압박
광장 세력·보수 유튜버 연대 시사
중도확장성 한계·정쟁 격화 우려

[일간경기=홍정윤 기자]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는 당선 직후 찬탄파에 대한 강경 노선을 재확인했다. 다만 장동혁 당대표는 그간의 찬탄 노선을 덮겠다는 취지의 발언도 곁들였지만, 장 대표의 요구는 정치 신념을 굽히라는 뜻과 같아 오히려 균열의 전조를 보여줬다.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는 26일 국회에서 열린 제6차 전당대회 결선 투표에서 김문수 후보를 2366표 차로 누르고 신승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는 모두 승자독식 구조로, 장동혁 대표가 0.54% 차로 승리해도 나머지 표는 사표(死票)가 됐다. 그러나 장 대표는 친한계·반탄파도 끌어안자는 김문수 후보를 지지한, 사표에 대한 배려는 없을 전망이다. 

당선 직후 장동혁 신임 당대표는 기자들의 ‘인적 쇄신’ 질문에 “단일대오에 합류하지 못하는 분들, 외려 당을 위협에 빠뜨리고 분열로 몰고 가는 분들은 결단이 필요하다고 본다”라고 답했다.

또 장동혁 대표는 “찬탄파라고 누구 이름 거명한 적 없다. 다시 말한다. 지금부터 단일대오에서 이탈하고 내부 총질하는 분들, 당론을 지속적으로 어기는 분을 결단하겠다 했지, 무슨 파 무슨 계 누구라 말한 적 없다”라고 했다. 과거는 잊을 터이니 한 기조로 가자는 경고이자 압박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당대표가 반대파에 대해 씌울 수 있는 포승은 윤리위원회 회부 또는 조강특위를 통한 당협위원장 제명 등이 있다. 두 방법 모두 2028년 총선에서 공천을 주지 않는다는 뜻이 된다.

이에 ‘분당설’도 대두되었으나 실상 어렵다고 봐야 한다. 

지역구 국회의원은 탈당 후 무소속으로 임기를 마칠 수 있지만 친한계 다수가 비례대표 의원이고, 비례 의원은 당적을 이탈·변경하면 의원직이 상실되기 때문이다. 즉 원내교섭단체 요건인 20석을 맞추지 못하면 분당의 의미가 없다.

물론 비례대표 의원들이 탄핵에 반대하고 민주당의 법안 중 동의하는 정책이 있으면 찬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당의 제명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당원권 정지나 경고로 의원직은 남겨두되 여론 상 문제 의원으로 낙인이 찍히거나, 본인이 원하는 상임위 배정에서 배제되고 본회의 토론 순서를 받지 못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이 차단될 수 있기에 비례대표 의원들이 맞서 싸우기엔 한계가 있다.

장동혁 당대표는 단일대오 방침에 대해 “107석 국민의힘이 믿어야 할 것은 우리와 함께 싸울 의지가 있는 자유 우파 시민과 연대해 싸우는 방법 밖에 없다, 그런데 원내의 분란이 계속되고, 묵인하고 방치한다면 저는 그분들과 연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라며 강경 노선을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또한 장동혁 대표는 “이재명 정권과 싸우는 방식은, 이재명 정권의 폭정에 우려하고 반대하고 자유 민주주의를 지켜내겠다는 의지가 있는 모든 분과 연대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이 탄핵 찬성 광장 민심을 끌어안은 것처럼 장동혁 당대표는 당을 하나로 모은 뒤 전광훈 씨의 광화문파, 손현보·전한길 씨의 여의도파 등의 광장 세력, 보수 유튜버 등과 연대한다는 계획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중도확장성이다. 장동혁 당대표의 이 같은 연대 대여투쟁은 12·3 불법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반대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이 ‘실수’할 경우 이들에 더해 더 부각될 전망이고, 정치가 비전과 정책으로 승부하기 보다 상대의 실수에 기대는 정쟁의 장이 될 모양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