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덕 동두천시장은 8월25일 국회에서 열린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동두천은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 무려 42%를 미군 공여지로 제공했다”며 “그 결과 지역경제가 연간 5278억 원, 누적으로 26조 원이라는 천문학적 피해를 입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진=동두천시)
박형덕 동두천시장은 8월25일 국회에서 열린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동두천은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 무려 42%를 미군 공여지로 제공했다”며 “그 결과 지역경제가 연간 5278억 원, 누적으로 26조 원이라는 천문학적 피해를 입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진=동두천시)

[일간경기=한성대 기자] 동두천시가 국가안보를 위해 70여 년간 희생해 온 현실을 정면으로 호소했다. 국방 최전선에서 도시 면적의 절반 가까이를 미군에게 내어준 동두천이 이제는 더 이상 버틸 수 없다는 절규다.

박형덕 동두천시장은 8월25일 국회에서 열린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동두천은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 무려 42%를 미군 공여지로 제공했다”며 “그 결과 지역경제가 연간 5278억 원, 누적으로 26조 원이라는 천문학적 피해를 입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박 시장은 “평택은 시 면적의 5%만 공여했음에도 특별법을 통해 18조 원의 지원을 받았다”며 “동두천·의정부처럼 반환이 지연된 지자체는 국가가 특별법을 통해 반드시 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장에 참석한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공여구역 문제의 심각성을 공감하며 △특별기금 조성 △GTX-C 동두천 연장 착공 △규제 완화 △장기 미반환 공여지 특별보상 제도화 등을 약속했다. 이에 동두천시는 “도지사의 입장 표명은 동두천에 큰 희망을 주는 신호탄”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동두천시는 앞으로 반환 공여지의 활용과 미반환 구역 보상 문제 해결을 위해 중앙정부와 경기도, 국회와의 협의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동시에 주민과의 소통을 통해 눈에 보이고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반드시 이끌어내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