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시민협의회, 정부에 정책제안서 공식제출

인천지역 150여 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공공의료 강화와 국립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범시민협의회’(범시민협의회)가 지난 7월21일 국정기획위원회에 ‘국립 인천대학교 공공의대 설립 추진을 위한 정책제안서’를 공식 제출했다.  사진은 2024년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촉구 궐기대회.  
인천지역 150여 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공공의료 강화와 국립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범시민협의회’(범시민협의회)가 지난 7월21일 국정기획위원회에 ‘국립 인천대학교 공공의대 설립 추진을 위한 정책제안서’를 공식 제출했다.  사진은 2024년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촉구 궐기대회.  

[일간경기=김종환 기자] 인천지역 150여 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공공의료 강화와 국립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범시민협의회’(범시민협의회)가 인천대학교 공공의과대학 설립 실현을 위한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범시민협의회는 인천시민의 오랜 숙원인 공공의대 설립을 위해 2025년 하반기부터 전방위적인 정책 활동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특히 제21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재명 후보가 약속했던 "공공의대 설립을 통한 복지강국 실현" 발언을 상기시키며, 해당 공약이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범시민협의회는 지난 7월21일 국정기획위원회에 ‘국립 인천대학교 공공의대 설립 추진을 위한 정책제안서’를 공식 제출했다. 이들은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검토와 반영을 요청했다.

제안서에는 인천의 열악한 공공의료 현실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공공의대 설립의 당위성이 담겼다. 특히 인천은 ‘치료가능사망률’ 전국 1위, 도서·접경지역 의료 접근성 부족, 해외 감염병 유입 대응체계 취약 등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또한 국내 7대 특·광역시 가운데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국립대학인 인천대학교에 공공의대를 설립해 지역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고 감염병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범시민협의회는 향후 국회 정책토론회를 추진하고, 2025년 안에 공공의대 관련 통합법안이 발의·제정될 수 있도록 지자체, 정부, 정치권과 협력해 인천시민의 요구를 전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발맞춰 인천시는 최근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지원 TF 3차 회의’를 열고 관계기관과 후속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인천대학교도 교내 실무추진단을 강화해 공공의대 설립 준비를 본격화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