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서울·경기 쓰레기 대란 불보듯
"대체매립지 조성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일간경기=이장열 기자]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6개월을 앞두고 직매립 금지 유예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환경부에 전달할 예정이어서 내년 초부터 수도권 지역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을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인천시 정승환 환경국장이 인천시청 브리핑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수도권매립지 대체매립지 입지후보지 4차 공모도 진행 중에 있고, 생활폐기물 소각장 확충 등도 진행 중에 있다지만,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하는 생활쓰레기 직매립 금지 유예는 없다고 밝혔다.
수도권매립지 대체매립지 공모가 3차까지 진행됐지만, 무산되고 4차 공모가 5월 13일부터 10월 10일까지 민간까지 공모 자격을 확대하고, 대체매립지 규모도 50만㎡ 으로 축소해서 공모를 진행중이지만, 사업자가 나타날지 여부도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생활매립지 직매립 금지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지만, 소각장 확충 계획난 수립되었지, 10개군구에서 소각장을 건립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데는 현재까지 없는 실정에 놓여 있다.
소각장 확충이 불투명한 상황인데도 인천시는 7월 중에 환경부에 직매립금지 유예는 반대한다는 의견을 공문으로 보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천시가 직매립금지 유예 반대 입장을 환경부에 전달하는 이유는 대체매립지조성에 정부가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하는 측면이 크게 자리잡고 있다.
올해 12월 31일까지 서울과 경기도서 발생한 생활폐기물는 수도권매립지에 매립할 수 있었지만, 내년 1월 1일부터 수도권매립지에 매립할 수 없고 해당 지역에서 반드시 소각해야만 한다.
내년부터 서울과 경기도가 쓰레기 대란이 일어날 것이 뻔한 상황에 놓여 있다. 서울과 경기도가 수도권대체매립지 조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인천시가 직매립금지 유예에 반대하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파악된다.
인천시 정승환 환경국장은 “33년간 수도권의 쓰레기를 받아온 인천이 더 이상 무시당하거나 홀대 받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기에 생활폐기물 직매립금지 유예 반대 입장을 분명한 것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