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예산 104억원 투입
수출기업 지원 지속 확대
글로벌 공급망 사업 중심
[일간경기=김인창 기자] 미국이 상호관세 세율과 관련한 서한을 발송하면서 관세 적용이 8월1일까지 유예된 가운데, 경기도가 수출 중소기업의 피해 최소화에 나섰다. 도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04억 원 규모의 수출지원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도는 이번 예산을 △관세 리스크 긴급 대응 △수출 경제영토 확장 △수출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 등 세 가지 전략 분야에 집중 투입한다고 설명했다. 기존 미국 중심의 수출 구조에서 벗어나 신흥 유망시장으로의 다변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우선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한 신속 대응을 위해 76억 원이 투입된다. 이 중 70억 원은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에 사용된다. 자동차, 의약품, 반도체, 철강, 알루미늄 등 미국의 관세정책에 직·간접적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 900개사를 대상으로 수출 컨설팅, 해외전시회 참가, 해외규격 인증, 물류비 지원 등 단계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FTA 통상지원사업에는 약 4억6천만 원을 편성해 통상환경조사단 파견과 비관세장벽 대응을 강화한다. 상반기에는 미국에 자동차부품 조사단을 파견했으며, 하반기에는 전기전자·반도체 분야 조사단이 추가로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미국 진출을 희망하는 화장품 기업에 대한 필수 인증 지원과 전문 컨설팅도 확대된다.
아울러 경기도는 수출 경제영토 확장을 위해 19억 원을 별도로 배정했다. 미국, 중국 등 무역 리스크가 높은 시장과 함께 도내 주요 수출국인 베트남, 인도 등 4개국을 대상으로 총 100개 기업의 온·오프라인 유통망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일본, 중동 등 신흥시장에도 통상촉진단을 두 차례 추가 파견해 현지 진출을 돕는다. 오는 11월 열리는 대한민국우수상품전시회(G-FAIR KOREA)에는 해외바이어 200명 이상을 초청해 도내 기업과의 수출 상담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직접 지원도 강화된다. 도는 해외규격인증 획득 지원에 약 5억 원, 수출기업 물류비 지원에 약 3억8천만 원을 투입해 수출 장벽을 낮추고 안정적인 시장 진출을 돕는다.
해외 현지 지원 거점인 경기비즈니스센터(GBC)도 확장된다. 미국 댈러스에 GBC가 8월 문을 열 예정이며, 하반기 중 호주와 대만에도 각각 1곳씩 추가된다. 이로써 전 세계 21개국에 총 27개 센터가 운영될 예정이다. 도는 이를 통해 단순 수출을 넘어 현지 밀착형 전략 수립과 자생적 진출 역량 확보를 도울 계획이다.
박근균 경기도 국제협력국장은 “2025년 하반기는 미국 관세정책의 향방을 가늠할 중대한 분기점”이라며 “경기도는 단기 응급조치를 넘어 정밀하고 지속 가능한 수출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도내 중소기업이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