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시민이 주인 되는 '일상 속 민주주의' 실현"

하태화 광명시 자치행정국장은 5월27일 '시민과의 동행으로 일군 자치분권의 결실과 미래'를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개최하고, 2027년까지 자치분권 일상화를 위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사진=광명시)
하태화 광명시 자치행정국장은 5월27일 '시민과의 동행으로 일군 자치분권의 결실과 미래'를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개최하고, 2027년까지 자치분권 일상화를 위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사진=광명시)

[일간경기=박웅석 기자] 광명시가 지난 7년간 쌓아온 자치분권 기반을 발판으로 시민 주도의 지속가능한 도시 건설에 박차를 가한다.

광명시는 5월27일 '시민과의 동행으로 일군 자치분권의 결실과 미래'를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개최하고, 2027년까지 자치분권 일상화를 위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하태화 자치행정국장은 "시민은 단순한 수혜자가 아닌 정책의 주체"라며 "일상 속 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광명시는 2018년 자치분권과 신설을 시작으로 마을자치센터, 행복마을관리소, 공익활동지원센터 등 자치분권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특히 2020년에는 경기도 최초로 18개 모든 동에서 주민자치위원회를 주민자치회로 전환하고, 주민세 마을사업을 전면 시행해 풀뿌리 민주주의의 토대를 마련했다.

시민의 자치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도 눈에 띈다. 자치분권대학을 통해 지금까지 약 1,900명의 시민이 교육을 받았으며, 주민자치 민주시민교육, 공동체 예비학교 등 실천 중심 프로그램을 운영해 시민의 정책 참여 역량을 높여왔다.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광명시는 주민총회, 광명 자치분권 포럼, 시민공론장 '광명시민 1번가', 500인 원탁토론회 등 다양한 시민 참여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주민총회에서 결정되는 주민세 마을사업은 2020년 24개에서 올해 59개로 확대되며 지역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광명시는 2027년까지 자치분권 일상화를 목표로 4대 전략을 추진한다. 먼저 '제3차 자치분권 기본계획' 수립과 정책 책자 발간을 통해 자치분권 선도도시로 브랜딩을 강화한다. 또한 부서별 협치사업 평가제를 도입해 정책 전 과정에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 주민총회 상설화로 공동체 회복을 도모한다.

숙의민주주의 완성을 위해서는 민관 협력 의제추진단을 구성하고, 시민 공론장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시민이 정책의 주체가 되는 참여 기반을 강화하고, 경제·사회·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을 이룬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광명시의 이번 계획은 형식적 참여를 넘어 시민이 실질적으로 지역 의제를 발굴하고 실행까지 주도하는 진정한 자치분권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