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캠프그리브스서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 개최
DMZ 평화에너지·기후테크 클러스터·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구상
[일간경기=김인창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한반도 평화경제를 위한 3대 전략을 제시하며 “경기도가 가장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9월19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은 경기도와 통일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가 공동주최했다.
이 자리에는 김동연 지사를 비롯해 문재인 전 대통령, 우원식 국회의장, 문희상 전 국회의장,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김동연 지사는 “김대중 정부가 계획을 세우고 노무현 정부가 터를 닦은 이곳에서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로 평화의 바통이 이어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장 추진할 수 있는 ‘평화경제 전략’을 경기도가 앞장서겠다”며 △평화에너지 프로젝트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을 제안했다.
첫 번째 전략인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는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첨단산업 전력을 공급하고 지역 주민과 이익을 공유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제시했던 ‘DMZ 내 솔라파크’와 지방정부 협의회의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상을 확장한 개념으로, 에너지 자립과 남북 공동 번영을 동시에 겨냥한 제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두 번째 전략은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구축이다. 김동연 지사는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집중 육성해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기후경제 선도지역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평화경제특구는 고양·파주·김포 등 경기북부 7개 시군을 포함한 접경 지역이 대상이다. 특구로 지정되면 지방세 감면과 자금 지원 등 혜택이 제공돼 기후산업 생태계 조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세 번째 전략은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이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에는 개발 가능한 반환공여지가 22곳 있다”며 “재정을 투입해 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규제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행사가 열린 캠프그리브스 역시 과거 미군 2사단이 주둔했던 군사기지였으나 지금은 평화·생태 공간으로 변모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며 “지역 중심의 개발 원칙을 견지하겠다”고 말했다.
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전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피스메이커’가 되어 달라 제안했고, 자신은 ‘페이스메이커’가 되겠다 했던 이재명 대통령의 제안은 탁월했다”며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이 한반도 평화의 열쇠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평화를 염원하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남·북·미 정상들의 역사적 결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파주 캠프그리브스는 과거 분단의 상징이었으나, 반환 이후 경기도 소유가 되면서 평화공간으로 탈바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