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직업·학력 등 차별 여전…인권센터 인지율은 38%
[일간경기=김희열 기자] 수원시가 올해 시민 인권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가량이 나이·직업·학력·성별 등 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인권침해와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인권 정책과 인권센터 운영에 반영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지난 7월 21일부터 8월 4일까지 시민 5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인권침해·차별을 겪은 이유로는 '나이'가 53.7%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직업이나 소득 등' 46.9%, '비정규직' 46.5%, '학력·학벌' 45.5%, '성별' 40.9% 순이었다.
인권침해를 경험했을 때 대응 방법으로는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40.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주변 사람에게 도움 요청'이 33.5%였고, 가해자에게 직접 시정을 요구한다는 응답은 20.5%였다.
수원시 인권 정책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수원시 인권 정책이 시민 인권 증진에 기여한다'는 응답은 40.6%였고, 부정 평가는 8.9%였다. '수원시가 인권친화적인 도시라고 생각한다'는 긍정 응답은 45.3%, 부정은 7.9%였다. '수원시가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는 질문에는 40.9%가 긍정, 12.6%가 부정했다.
수원시 인권 정책의 성과가 있는 분야로는 아동·청소년 정책(18.9%)과 노인 정책(18.5%)이 꼽혔다. 여성 정책(5.9%)과 장애인 정책(6.1%)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수원시 인권센터 인지율은 38%였으며, 응답자의 68%는 인권센터 역할 확대에 찬성했다. 인권침해나 차별을 당했을 때 인권센터를 이용하겠다는 응답은 84.3%에 달했다.
수원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시민 인권실태조사를 추진해 시민 생활 전반의 인권 상황을 면밀히 진단하고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또한 시민 인권 인식 조사를 3년 주기로 정례화하고, 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인권 정책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인권 정책 추진 성과도 시민에게 공개해 정책 신뢰도를 높일 방침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시민 다수가 수원시 인권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며 "앞으로 인권친화도시 위상을 강화해 전국 기초지자체를 선도하는 모범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조사로 나이·성별 등 일상적 차별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인권침해 대응 체계를 강화해 차별 없는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