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 전 단계 안전대책 착수
위험구간 별도 설정·지반조사 강화
GPR 탐사 전 구간 확대..합동점검
[일간경기=조영욱 기자] 경기도가 광역철도 건설 과정에서 반복되는 지반침하 사고를 막기 위해 종합 안전대책을 마련했다.
경기도는 5월1일 조사·설계·시공 단계별로 강화된 안전관리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지하수 변동, 노후 매설물, 미탐지 지중구조 등으로 인한 도심지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새 안전대책의 핵심은 기본계획 단계부터 위험구간을 별도 관리하는 것이다. 수직구, 정거장, 터널 교차부 등 취약지점을 미리 지정해 중점 관리한다.
설계단계에서는 시추조사를 더욱 세밀하게 실시하고, 지하물리탐사(GPR)와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 탐사 등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지질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고, 위험구간에 대해서는 중첩 검사로 안전성을 강화한다.
시공과정에서는 지반침하 전문가를 현장에 상주시키고, 위험구간 굴착공사 현장에는 안전요원을 24시간 배치한다. GPR 탐사는 산지를 제외한 전 구간으로 확대되며, 계측장비를 통해 지반 이상 징후를 조기에 포착할 계획이다.
도는 이미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공사' 현장에서 행정안전부와 합동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했으며, 도내 다른 철도 건설현장으로 점검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기범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이번 대책은 사후 조치가 아닌 사전예방에 중점을 뒀다"며 "유관기관과 협력해 도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철도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조영욱 기자
choyo2728@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