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100% 지원 주장 사실 아냐"
[일간경기=정연무 기자] 성남시가 분당과학고 설립 예산을 시가 100% 지원한다는 일각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성남시는 3월20일 반박 보도자료를 통해 “정치권 일각에서 과학고 설립에 동의하면서도 과학고 설립 예산 100% 성남시 지원, 1300억이 소요된다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어 시민들은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고 지적하고 “허위 정보 유포가 지속될 경우 법적대응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과학고 설립 예산은 성남시와 경기도교육청이 분담하여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성남시가 경기형과학고로 유치한 ‘가칭 분당중앙과학고’는 과학고 신설이 아닌 전환을 택해 경기도교육청이 기존 학교시설과 토지, 학교운영비 등을 제공하고 성남시가 추가시설과 기자재, 기타 운영비 등의 예산을 지원하며 타당성 용역을 통해 사업비를 절감할 계획이다.
실제 기존 분당중앙고 부지비는 2024년 공시지가로 약 528억원이다.
이와 유사한 부지에 이천시, 시흥시처럼 신설 방식으로 과학고를 설립했다면 부지에만 500억원이 넘게 들고 건축비도 추가로 더 소요되었을 것이나 경기도교육청 소유의 부지와 건물을 활용하여 예산을 절감한 셈이다. 또한 학교 뒤편 연접 시유지를 활용하여 약 104억원 상당의 추가부지에 대한 예산도 절감했다.
성남시에 따르면 시가 과학고 설립에 지원하는 총예산은 학교 리모델링비(본관, 체육관) 및 증축 공사비(탐구관, 기숙사), 기자재 구입비 등으로 약 755억원 (예비비, 운영비 별도)이다.
앞서 이와 관련해 김병욱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당을)은 지난 3월19일 "과학고 전환 설립을 위해 약 1300억 원 이상의 성남시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모 당시부터 지자체 간의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며 과학고의 설립과 운영에 드는 막대한 비용을 지자체에 떠넘기면서 결국 성남시민의 세금으로 이를 충당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서은경 성남시의원도 3월13일 열린 성남시의회 제301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에서 "과학 인재 육성을 위한 사업이지만 설립·운영 비용을 100% 시가 부담하는데도 성남지역 학생의 우선 선발권을 보장받지 못한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했다.
성남시 관계자는 “일부 정치권에서 국가 이공계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고 설립에 동의한다면서도 시민 혈세 100% 부담이라는 허위정보를 퍼트려 국가 교육과 시정을 흠집내는 활동은 중단되었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