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AI등 중점 육성 분야 제시
반도체 등8대 중점기술 및 중점 추진과제 제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이 반도체·인공지능·이차전지·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육성 전략을 담은 ‘경기도 국가전략기술 육성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경과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이 반도체·인공지능·이차전지·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육성 전략을 담은 ‘경기도 국가전략기술 육성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경과원)

[일간경기=김인창 기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이 반도체·인공지능·이차전지·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육성 전략을 담은 ‘경기도 국가전략기술 육성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경기도의 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8대 중점기술과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경기도는 국내 제조업체의 35.6%와 종사자의 31.7%가 집중된 지역이다. 국가전략기술 관련 연구개발(R&D) 집행 비중은 약 14%(9690억원)에 달하며, 전국 최대 규모의 전문생산기술연구소(36%)와 기업부설연구소(32%)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경과원은 국가전략기술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전문가 분석과 국가 R&D 투자 특화도를 종합해 △반도체·디스플레이(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 차세대 센서, 소재·부품·장비) △인공지능(첨단 모델링, 신뢰·안전 AI, 산업혁신 AI) △첨단모빌리티(자율주행, 전기·수소차) 등을 포함한 8대 중점기술을 우선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 기술은 경기도 산업 구조와 밀접히 연계돼 파급력이 크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는 글로벌 기업 집적과 메가클러스터 시너지 효과로 성과 확산이 기대된다. 인공지능 분야는 판교의 기업과 인재 기반을 통해 산업 혁신을 가속하며, 첨단모빌리티는 지역 가치사슬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실증과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분석됐다.

경과원은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위해 △중점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지원 △지역기술혁신허브를 기반으로 한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 △조례 제정 등 제도 기반 강화를 제안했다. 또한 인재양성 프로그램,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R&D 투자 확대 등 실행체계 마련도 강조했다.

경과원은 앞으로도 국가전략기술 관련 연구를 지속하며 기업과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후속 연구와 연구개발 사업 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국가전략기술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 기반으로, 경기도는 산업·혁신 여건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전략기술 육성의 중심지가 될 수 있다”며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와 협력 기반 확충을 통해 경기도의 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