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경기본부
"임금 체불 사태 잇따라
근본적 해결 방안 시급"
[일간경기=김희열 기자] 경기도의료원의 만성적인 재정난이 결국 현장 직원들의 생계와 환자 진료 공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의정부병원과 포천병원에서 잇따라 임금 체불 사태가 발생하면서, 직원들이 급여일마다 생계 불안을 호소하는 상황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경기본부는 1일 “경기도의 안일한 대처가 공공의료의 최전선을 무너뜨리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노조에 따르면 최근 의정부병원 직원들은 급여일에 임금의 85%만 수령했고, 약 1억3000만원이 체불됐다가 뒤늦게 지급됐다. 포천병원도 6년 이상 근속한 직원에게 80%만 지급했으며, 역시 약 1억3000만원이 나흘가량 미뤄졌다. 노조는 “임금이 정상적으로 지급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며 직원들은 생활비조차 감당하기 힘든 지경”이라고 호소했다.
특히 노조측은 경기도의료원 5개 병원(수원·의정부·파주·안성·포천)에서만 올해 113억원 규모의 자금 부족을 예상한다. 의정부병원(28억7천만원)과 포천병원(25억9천만원)이 가장 심각하다. 노조는 “매달 급여일이 다가올 때마다 직원들이 체불 불안을 겪고 있으며, 임금 체불은 앞으로도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경기도는 임금 체불 해소 방안으로 ‘은행채 발행’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노조는 “부채를 떠안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며 반발했다. 코로나19 이후 병상 가동률 회복이 더디고 인건비 부담은 늘어나면서 적자가 누적된 만큼, 단순한 일시적 예산 투입으로는 해결이 어렵다는 것이다.
인력 부족 문제도 심각하다. 자연 감소 인력을 충원하지 않은 채 연차 사용을 강제하면서 현장 공백이 발생했고, 남은 직원들의 노동 강도만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노조는 “의료서비스 공백이 결국 환자 안전으로 직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책 방향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경기도가 남양주·양주 지역 공공병원 신설을 추진하는 반면, 기존 6개 병원의 안정적 운영과 기능 강화는 뒷전으로 밀려 있다는 것이다. 노조는 “신규 설립과 기존 병원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며 “특히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포괄 2차 병원’ 지정에서도 경기도의료원은 성과가 미흡하다”고 꼬집었다.
노조는 현재 경기도청 앞에서 29일째 피켓 시위를 이어가며 △체불임금 해결과 추경 편성 △공공보건의료 특별회계 신설 △의정부·포천병원 이전 신축 △6개 병원 기능 강화 △의사 및 인력 충원 △도지사 면담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공공의료 후퇴는 곧 도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며 “김동연 지사가 공공병원 정책 전환과 근본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