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23개 정책 집중 홍보

[일간경기=김희열 기자] 수원시가 시민을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정책 23개를 정리해 적극 홍보한다.

수원시는 출산·양육, 아동·청소년, 청년, 중장년, 노년, 취약계층 등 7개 생애 단계에 맞춘 지원 정책을 카드 뉴스로 제작해 수원시와 4개 구 홈페이지에 올렸다.

이와 함께 수원시 △ 정책 홍보문자 ‘짤막소식’ △ 새빛톡톡 ‘배너’와 ‘알림톡’ △ 수원시 공식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홍보를 진행했다. 오프라인 매체로는 시정소식지 와글와글 △ 대중교통환승센터 스크린 △ 각 구동 민원실 TV방송 등 32개 채널을 활용했다. 수원시는 앞으로도 다양한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홍보를 이어갈 계획이다.

주요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정책 23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민안전보험은 재난·사고 시 치료비를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하며, 사망 시 장례비로 최대 2000만 원을 지급한다.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에는 ‘수원새빛돌봄’ 서비스를 연 150만 원 한도로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생활 지원과 동행, 심리상담 등을 포함한다.

임신 준비자를 위한 건강검사비는 여성 13만원, 남성 5만원이며, 임신 시 진료비는 100만원 바우처로 지원한다. 부모에게는 월 최대 100만원의 부모 급여가 지급되고, 아동수당과 양육 수당도 지원한다.

청년층을 위한 정책으로는 24세 청년기본소득이 분기별 25만 원이며, 취업 준비비는 연 30만 원이다. 청년 월세 지원은 월 10만 원 한도다.

아동·청소년 지원으로는 6~18세 교통비를 분기별 6만 원 환급하며, 저소득 여성과 청소년에게는 위생용품을 월 1만4000원 상당으로 지원한다.

특수고용직 노동자를 위한 산재보험료는 90% 환급하며, 병가 유급 보상은 최대 12일이다.

노년층 지원 정책으로는 치매 어르신 치료비 월 3만 원 지원 △ 3세대 효도수당 반기 5만 원 △ 노년기 의료비 지원 등이 포함됐다.

자세한 내용은 수원시 홈페이지 수원소식 내 시정소식 게시판에서 ‘알아두면 돈이 되는 수원정책’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정책을 시민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 매체를 활용해 안내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