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간 줄여도 매출은 늘었다"
판교 AI스타트업서 성공사례 확인
김동연 "생산성 향상·저출산 해결 도움"
[일간경기=김인창 기자] 경기도가 올해부터 도내 5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주 4.5일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미 주 30시간 근무제를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판교 소재 AI기업을 방문해 제도 도입 효과를 경청했다.
김 지사는 2월7일 성남시 판교창업존에 입주한 AI 스타트업 '브레인벤쳐스'를 찾았다. 이 회사는 하루 6시간 근무에 화요일과 금요일은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파격적인 근무제도를 운영 중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근무시간 단축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실적이 상승세라는 것이다. 브레인벤쳐스의 2024년 매출은 전년 대비 25% 증가했으며, 직원들의 연봉도 업계 평균을 웃돈다.
김원회 브레인벤쳐스 대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의 핵심 근무시간에 집중해 일하면 충분하다"며 "장시간 근무가 회사에 대한 신뢰도의 척도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직원들도 "출퇴근 피로도가 줄어 업무 효율이 높아졌다"며 "일과 삶의 균형을 찾으면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계획도 세울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제는 노동시간의 양보다 질이 중요한 시대"라며 "주 4.5일제 도입으로 기업 생산성 향상은 물론 저출산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올해 시범사업을 통해 참여기업에 노동자 1인당 생활임금 수준의 장려금을 지원한다. 또한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컨설팅도 제공할 예정이다.
경기도의 주 4.5일제는 △격주 주4일제 △주35시간제 △매주 금요일 반일근무 중 노사가 합의해 선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관련기사
- 김동연 "주 4.5일제·0.5&0.75잡 프로젝트가 해답"
- 김동연, 임기 후반기 중점과제로 ‘사람중심경제’ 제시
- 김동연, 후반기 ‘휴머노믹스’ 방점.."경제해결사 역할 할 것"
- 김동연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민주당 복당 환영"
- 김동연 "윤석열 면회‥ 번호표 뽑고 대기 중인 내란의힘"
- 김동연 “저출생 극복하려면 주 4.5일제로 가야”
- 경기도 4.5일제 시범사업 참여기업 모집
- 경기도 4.5일제 시범기업 83곳 선정
- 김동연 지사 “4.5일제·0.5&0.75잡, 삶의 질과 효율 동시 향상 확신”
- 경기도, AI 스타트업에 차세대 'H200 GPU' 무상 지원.
- 경기도, 전국 최초 주4.5일제 도입
- 경기도, 2026년 생활임금 1만2552원 결정 3.3% 인상
- 성남시, 2026년 생활임금 1만2520원으로 인상
- 김동연, "주4.5일제 생산성·워라밸 함께 달성 확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