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공교육 경쟁력 강화 위해 '행정-교육 통합' 강조
[일간경기=박웅석 기자]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의 공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와 교육기관의 전방위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승원 시장은 1월9일 브리핑에서 “교육기관은 시에서 예산만 지원하는 소극적 협력을 원한다. 이런 기조를 바꾸고 싶다. 이에 대해 여러 차례 말했지만 기사화가 안되더라”며 본인의 소신을 밝혔다.
이날 박승원 시장은 “광명시가 과학고 유치에 실패하고 고교평준화 시행 후 주변지역에 비해 명문대 진학률이 눈에 띄게 떨어지는 등 공교육에 대한 어떤 보완책이 있는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재선 공약인 진로진학센터 설립 과정에서 겪은 교육기관과의 협력 문제를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박승원 시장은 “재선 공약인 진로진학센터 설립을 진행하며 교사 및 학부모들과 많은 의견을 나눴다. 그들의 주요 요구사항은 학생 개개인별 맞춤형 입시컨설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학교 내부만이 아니라 외부에도 시설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시설 설립을 위해 예산을 확보하고 운영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가장 협의에 어려움을 느끼는 기관은 교육청과 학교”라며 “지역의 교육환경과 관련된 문제, 학교 시설 이용 등 다방면에서 교육기관과 시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승원 시장은 “제가 경기도의회 의원이었을 당시 학생과 주민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2300억원의 예산을 들여 경기도 내 모든 학교들의 체육시설 설립을 추진했다. 막상 시설이 지어지니 주민의 출입을 막고 학생들도 수업 외에는 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곳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과정은 교육기관이 전담하되, 각종 시설 운영과 관련해서는 시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과 행정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승원 시장은 “시에서 체육시설을 덜 짓는 대신, 학교의 기존 체육관을 개보수하고 수영장을 새로 짓는 등 학교시설들을 도시설계의 일부로 넣을 수 있다면 보다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시설을 민간에게 개방했을 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시와 교육기관 간의 책임주체가 불명확해질 수 있다는 기자의 지적에는 “책임에 대한 불안감보다는 학생들의 복지가 우선시 되어야한다”며 “실제 통합 후 시설 운영에 문제가 생기면 학교는 교육과정에 전념할 수 있도록 운영문제는 시장인 제가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