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변동·결제지연 등 금융 부담
원자재 수급·생산성 차질 등 피해
대체시장 발굴, 대응방법 마련 못해
[일간경기=한동헌 기자] 인천지역 기업 대부분이 미·중갈등, 러-우전쟁, 중동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의 장기화로 기업 경영에 애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상공회의소가 최근 인천지역 소재 기업 17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가 인천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최근 지속되는 미·중갈등, 러-우전쟁, 중동분쟁 등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인천지역 기업의 61.8%는 ‘위험’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일시적 실적 저하'(28.8%)와 '경쟁력 저하'(27.1%)를 주로 겪고 있었으며, '사업존속 위협'(5.9%)까지 체감하는 기업도 일부 나타났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기업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61.8%)한 기업이 주로 경험한 피해는 '환율변동·결제지연 등 금융 리스크'(22.4%), '원자재 수급 문제로 생산 차질'(19.0%), '에너지·원자재 조달비용 증가'(19.0%)를 지적했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장기화됨에 따라 인천지역 기업은 주로 '기존 수출시장 외에 신규 대체시장을 발굴'(42.4%)하거나 '해외조달 부품·소재를 국내 조달로 전환'(28.9%)을 꼽았다.
인천지역 기업들이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론 '비용절감·운영효율성 강화'(35.8%), '대체시장 개척 및 사업다각화'(24.8%), '공급망 다변화 및 현지 조달 강화'(20.8%)로 나타났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미·중갈등, 러-우전쟁, 중동분쟁 등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인천지역 기업들의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정부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지원책을 마련하고, 공급망 다변화 지원 등도 함께 동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