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주민들 "살포 행위 처벌 법령 만들어달라"
인천 강화선 쌀 담은 페트병, 주민 반발에 막혀

최근 탈북민의 대북 전단 살포 문제가 다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 접경지역인 김포 주민들이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처벌할 수 있는 법령을 마련해달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또한 인천 강화도에서는 한 선교단체가 바다를 이용해 쌀을 담은 페트병을 북한에 보내려다가 주민 반발로 실패하는 일도 발생했다.

6월5일 북한 접경지역인 김포시 주민들이 월곶생활문화센터서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살포 중단 성명'을 발표하고 중단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김포시)
6월5일 북한 접경지역인 김포시 주민들이 월곶생활문화센터서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살포 중단 성명'을 발표하고 중단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김포시)

김포시 접경지역 주민들은 6월5일 오후 김포시 월곶생활문화센터에서 정하영 김포시장과 긴급 모임을 갖고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살포 중단 성명’을 발표했다.

주민들은 성명에서 “탈북단체가 어떤 이유와 변명을 하든지 접경지역에 살고 있는 우리는 어떤 형태의 긴장이나 갈등, 분쟁 등 접경지역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걱정과 염려를 하게하는 일체의 행위도 반대하고 부정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전쟁 이후 지난 70년간 한강하구를 경계로 북과 이웃해 살고 있는 우리는 단 하루도 맘 편히 살지 못하고 작은 땅덩이 한 조각, 쓰러져 가는 초막 하나 제대로 어쩌지 못하면서 이중 삼중의 규제로 불편과 피해를 고스란히 감내하면서 살아왔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남북 정상 간의 합의로부터 시작된 접경지역에서의 평화와 협력은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에게는 마지막 희망이고 생명줄이었다”며 “탈북민단체에서 접경지역 김포의 특수한 상황을 모두 무시하고 대북전단 살포를 계속할 것이라는 사실에 절망하고 분노한다”고 규탄했다.

이어 “우리는 2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던 2010년도 연평도 포격사건과 지난 2014년 김포시 애기봉 성탄트리 조준사격 위협 등으로 접경지역에 살면서 직간접적으로 겪은 생명과 재산에 대한 위협과 실제 상황 하에서의 공포와 황망함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며 “접경지역이 북한의 대응을 떠 보는 실험의 장으로 이용돼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북 전단을 살포했거나 계획을 준비 중인 단체에 마지막으로 경고한다.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살포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며 “접경지역 안에서 대북전단 살포 등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행위도 더 이상 허하지 않는다.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저지할 것”이라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한 정부와 국회에 “대북전단 살포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를 강구하고 이를 위반하는 사람들을 처벌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법령을 마련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같은날 강화군 삼산면 등에 따르면 선교단체 '순교자의 소리' 회원 10여명은 이날 오전 10시 35분께 강화군 삼산면 민머루해수욕장에서 쌀을 담은 페트병을 바다에 띄워 북한에 보내려하다가 주민 반발에 막히는 일이 발생했다.

선교단체 회원들이 마련한 쌀은 250㎏가량으로 페트병 250개에 나뉘어 담겨 있었다. 이 단체는 북한 주민들을 돕겠다며 행사를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은 북한을 자극하는 행동을 하면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행사를 취소해달라고 설득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또 선교단체 관계자들이 해안가에 들어서지 못하도록 진입로를 막았다.

경찰은 마찰이 빚어지는 것을 우려해 이 단체에 행사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하고 인력 50여 명을 동원해 만일을 사태에 대비했다.

이 단체는 주민 반발이 끊이지 않자 행사 시도 2시간30분만인 이날 오후 1시5분께 행사 개최를 포기하고 되돌아갔다.

행사에는 탈북민단체인 '큰샘'도 참여하기로 계획을 세우고 단체 홈페이지에 공지도 했지만, 실행에는 옮기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