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주소 전환사업 지원해야..

○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 “도로명주소 사용해봤다”66.6%
○ 민원·우편물 등 공공부문 이용률 높은 반면, 음식배달·길찾기 등 실생활 이용률 낮아
○ 미사용 부문 중심으로 도로명주소 전환사업 집중 지원, 맞춤형 홍보·교육 강화 필요

경기연구원은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도로명주소 정착 지원 방안을 제시한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

경기도민 1,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 도로명주소를 사용해본 사람은 66.6%로 나타났고, 여전히 지번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33.4%로 조사되었다.

도로명주소가 불편한 이유는 ‘지번주소를 도로명주소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31.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로명주소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기억하기가 어렵다(50.7%)’, ‘사용할 일이 없다(27.0%)’, ‘위치 찾기가 더 어렵다(20.7%)’ 순으로 나타났다.

도로명주소는 민원업무(72.3%)나 우편물(69.0%)과 같은 공공부문의 이용률은 높은 반면, 실생활과 밀접한 음식배달(18.8%), 길찾기(17.6%)에서는 이용이 저조한 실정이다.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도로명주소 표지판 등 안내시설문 추가설치(60.3%)’, ‘택배, 내비게이션 등 생활 속에 도로명주소 정착지원(57.1%)’, ‘홍보·교육(53.7%)’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 도로명주소 체계는 지번주소와의 이중사용으로 인한 불편함, 지번주소보다 길어 외우기 어려움, 잦은 도로명주소 변경으로 인한 혼선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로명이 길고 숫자가 포함되어 외우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고, 사용자의 20%이상 동의 시 도로명주소를 변경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잦은 주소변경으로 이용자의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다.

옥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도로명주소 활성화 전략으로 ▲도로명주소 미사용부문 중심의 도로명주소 전환사업 집중지원 ▲생활밀착형 도로명주소 안내시설 확충 ▲도로명주소 미사용자 대상의 맞춤형 홍보·교육 강화 ▲중앙정부 차원의 지자체 홍보사업 선별적 지원 확대를 제시했다.

경기도는 지번주소를 사용하는 업소의 영수증, 홈페이지 등을 제보 받아 도로명주소 사용을 장려하는 ‘도로명주소 신문고 제도’를 지난 해 전국 최초로 도입하여 도로명주소 미사용자 대상으로 집중 홍보하고 있다.

도로명주소가 정착되지 않은 미사용 사업장은 홈페이지, 카드단말기 등 주소 변경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고, 도로명주소 조기정착과 쉬운 길찾기를 위해 안내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또한 도로명주소의 사용·표기법에 관한 홍보 및 교육은 불특정 다수를 위한 집단 홍보가 아닌 미사용자를 중심의 집중 홍보하고, 성과로 검증된 지자체 홍보사업은 정부 차원에서 지속 지원해야 할 것이다.

한편 2014년 1월 시행한 도로명주소는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홍보 및 시설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