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원미경찰서 112종합상황실 경정 조석완

“구절양장(九折羊腸) - 세상이 복잡하여 살아가기 어렵다” 

  112 범죄신고, 119 화재신고, 118 사이버테러, 111·113 간첩신고, 117 학교폭력, 1333 교통정보, 120 콜센터 등등 넘쳐나는 신고전화번호 홍수 속에 긴급한 상황에 접했거나 생활 속 궁금증에 대한 문의를 하기 위해 어떤 전화번호를 눌러야 할지 한번쯤 고민을 해 보았을 것이다. 아울러 114를 눌러 전화번호 문의를 하면서 불필요한 비용을 낭비하기도 했을 것이다.

필자가 부천원미경찰서 112종합상황실장으로 근무하면서 하루 평균 300∼500여건의 112 신고를 접하게 되는 바, 상당수는 범죄상황이 아닌 경찰출동조차 필요치 않는 신고들로 넘쳐난다. 현재 신고건수의 약 40% 정도가 경찰출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출동 신고로 접수되고 있어 긴급범죄신고 접수·처리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얼마전 국민안전처가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국민 80%가 ‘신고전화 수가 너무 많다’고 했으며 ‘신고전화 수를 줄여야 한다’에 90%의 응답률을 보이며 통합의 필요성을 지적했다고 한다.  

당분간 우리 국민들은 182, 110, 112에 대한 인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민원·상담 전화는 182와 110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82는 운전면허 갱신·범칙금 문의 등 경찰서에 문의할 것이 있을 때 활용하고, 110은 생활불편사항 등 경찰이 아닌 국가자치단체 관련 민원이나 생활민원 상담 전화로 기억하면 될 것이다. 

112는 긴급범죄신고라는 인식확산이 필요할 것이다. 112 접수요원들이 긴급범죄신고 처리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할 시점에 단순 민원상담전화를 받고 있다면 이로 인한 제2·제3의 피해자가 양산될 수도 있는 만큼 민원상담 전화번호로 182·110을 인지함으로써 범죄현장으로 달려가는 경찰출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내년부터는 20여개에 달하는 기존 신고전화를 통합하는 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이라고 한다. 보다 신속한 경찰력 운용, 실질적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국민을 돕기 위해 민원상담전화는 182·110을 기억하고 범죄신고는 112로 기억해 주었으며 하는 바램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