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초 단행 전망, 개편 폭·특보면면 주목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새해 부처 업무보고 청취를 마무리함에 따라 조만간 청와대 개편과 소폭 개각을 골자로 하는 인적쇄신을 단행할 전망이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이어진 청와대발(發) 파동의 후폭풍에서 벗어나 분위기를 일신하고 집권 3년차 국정운영에 동력을 불어넣기 위해 청와대와 내각의 라인업을 부분적으로 바꾸는 것이다.

특히 박 대통령이 여론의 요구를 수용해 청와대의 대대적 개편에 나설지가 최대 관심이다. 

인적쇄신 요구에 귀를 닫았다는 비판여론 속에 대통령 지지율이 집권후 최저로 추락했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연말정산 세금폭탄' 논란이 불거지면서 반전의 모멘텀을 찾지 않으면 안된다는 위기감이 청와대 내에서도 커졌기 때문이다. 

김기춘 비서실장의 퇴진 시기는 다소 유동적이다. 여권 내에선 김 실장이 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거듭 표명했던 만큼 조직개편 작업을 완수하면서 함께 물러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김 실장 본인도 개편과 동시에 옷을 벗겠다는 뜻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박 대통령은 지난 20일 국무회의에서 '새출발'을 언급하며 조속한 인적쇄신을 예고한 만큼 이르면 내주초 청와대 개편과 소폭 개각이 동시 또는 순차로 진행될 전망이다.

집권 2주년(2월25일)을 앞두고 설 연휴 전에 인적 쇄신의 결과물을 내놓음으로써 여론 전환의 터닝포인트를 만들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청와대 개편의 핵심은 비서관 3인방의 거취다. 박 대통령은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들의 교체는 없다고 못을 박았지만, 인적쇄신 압박이 거세지면서 이들의 업무범위를 축소, 변경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메시지와 일정을 담당하는 정호성 제1부속 비서관은 자리를 지키되 청와대 살림을 맡고 인사위원회에도 참석해 야권의 낙마 표적이 됐던 이재만 총무비서관은 정책파트로 옮기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대통령 메시지와 일정을 담당하는 정호성 제1부속 비서관은 자리를 지킬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 수행업무를 맡아온 안봉근 제2부속 비서관은 홍보파트로 보직을 변경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이 경우 제1·2로 나눠진 부속실은 자연스럽게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김기춘 비서실장의 퇴진 시기는 다소 유동적이다. 여권 내에선 김 실장이 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거듭 표명했던 만큼 조직개편 작업을 완수하면서 함께 물러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김 실장 본인도 개편과 동시에 옷을 벗겠다는 뜻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대안부재'로 인해 청와대 개편을 포함한 현안을 처리한 뒤 물러날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또 정책기능 강화 차원에서 한때 정책실 신설방안도 검토됐지만, 조직 비대화라는 단점을 고려해 현재의 10수석실 체제를 유지하되 국정기획실을 정책실로 바꾸고 정책비서관을 두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재만 비서관은 정책비서관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청와대 살림을 맡고 인사위원회에도 참석해 야권의 낙마 표적이 됐던 이재만 총무비서관은 정책파트로 옮기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일부 비서관들은 사의를 표명했거나 교체대상에 올랐다. 행정관들의 큰 폭의 전보 인사가 있다는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특보단 신설과 정책기능 강화도 주목된다. 특보단의 경우 정무·소통기능 강화 차원에서 홍보와 정무특보를 두거나 당청간 정책조율과 협업이라는 관점에서 과제별 정책특보를 신설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특보단의 면면도 관심사항이다. 여권 내에선 서청원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윤상현 의원 등 현직을 포함해 현기환, 이성헌 전 의원 등을 폭넓게 특보로 중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반면 정치인은 최소한으로 쓰는 대신 각 기능별로 야당이나 시민사회, 언론과 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깜짝 인사를 발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반론이 청와대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 수행업무를 맡아온 안봉근 제2부속 비서관은 홍보파트로 보직을 변경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이 경우 제1·2로 나눠진 부속실은 자연스럽게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개각의 경우 박 대통령이 "공석으로 있는 해양수산부 장관 등 꼭 필요한" 부처로 범위를 한정한 만큼 소폭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 장관에는 해양 변호사 출신의 새누리당 유기준 의원이 거론되는 가운데 외부 전문가를 기용하는 방안도 복수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취임 이후 바뀌지 않은 일부 경제부처와 외교·통일분야 장관을 교체대상에 포함시켜 2∼3개 부처의 소폭 개각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관가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직무를 계속 수행해온 장관은 윤병세 외교, 류길재 통일, 황교안 법무, 이동필 농림축산식품, 윤상직 산업통상자원, 윤성규 환경,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과 신제윤 금융위원장 등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