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남동경찰서 남동공단파출소 순경 류용빈

대도시하면 떠오르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바삐 움직이는 사람들, 어마어마하게 높은 고층건물들, 그리고 도로를 꽉 메운 채 움직일 줄 모르는 차들일 것이다. 도시가 발달하면서 여러 도시문제가 발생하였고, 그 중 교통체증(Traffic jam)은 아주 고질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를 타파하기 위한 제도로 ‘버스전용차로제’가 있다. 

‘버스전용차로제’는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수단인 버스에 통행의 우선권을 줌으로써 도로의 수송 효율을 증대하여 도로의 정체를 피하고 대중교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도로 1993년 8월부터 시행되었다. 

현재 서울에서 시행하고 있는 ‘중앙버스전용차로제’는 기존의 도로 바깥쪽 마지막 차선에 있던 버스전용차로를 도로의 가운데 차로로 옮기고 버스 정류장을 도로의 중앙에 설치하여 버스승객의 승·하차시, 일반차량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교통 소통을 더욱 원활하게하기 위해 변형한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현재 서울시에서는 12개 노선, 총 115.3km에 걸쳐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도입된 2004년 이후 서울시내 버스 운행 속도가 15km/h에서 19km/h로 평균 30% 개선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버스중앙차로제의 효율성에 치중한 부분만을 보아야 하는 것일까?

한 마디로 말해서 ‘아니다’라고 할 수 있다. 아무리 효율성, 편리성이 중요할지라도 안전성에 우선할 수는 없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 전체 교통사고가 줄고 있는 반면 중앙버스전용차로 사고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로의 가운데에 설치된 버스정류장에서 인도로 가기 위해 횡단보도를 1번, 많게는 2번까지도 횡단할 수밖에 없게 된다. 버스정류장과 인도까지의 거리는 성인걸음으로 5발자국 남짓의 적은 거리인 곳이 대부분이라 이를 기다리지 못하고 무단횡단을 하다가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절반을 이룬다.

교통의 흐름을 개선하여 편리함을 제공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좋지만 보행자의 안전을 배제한 제도는 옳지 않다. 방호울타리 등 물리적인 시설물을 보완하고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주기를 단축하여 보행자들이 무단횡단을 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