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18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부터 영어 영역은 절대평가제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27일 기자간담회에서 "수능 영어 과목의 절대 평가 도입을 심도있게 논의중이며 큰 방향은 (절대 평가쪽으로) 잡혀 있다"면서 "과도한 사교육 시장과 수 십년에 걸친 영어 투자가 무슨 결실을 내고 무엇을 위한 것인가가 근본적으로 의문이 생긴다"고 밝혔다. 

실시 시기와 관련해선 '대학입학전형 3년 예고제'를 따를 방침이라고 밝혀 빠르면 2018년 수능부터 적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교육현장의 충격 완화를 위해 연착륙할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는 장관의 발언에 비춰 실시 이전까지 교육부가 올해 초 밝혔던 ‘쉬운 수능 영어’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앞으로 교육현장의 변화가 예상된다. 당장 외고의 인기가 떨어지고 자사고와 과학고의 선호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진보성향의 교육감들이 폐지를 추진중인 자사고의 경우 학과목 운영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어 수험생 입장에선 입시준비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교육당국의 섣부른 정책이 교육현장의 혼란을 부추기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교육부의 수능 영어 절대평가제는 사교육비 경감과 영어교육의 정상화, 학업부담 완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하지만 영어 한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한다고 해서 소기의 목적을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점수 1점으로 대학이 바뀐다는 말이 나올 만큼 경쟁이 치열한 수능에서 영어의 변별력이 떨어질 경우 수학과 탐구과목의 경쟁이 높아지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글로벌 교육을 지향하는 오늘날 대학 입장에선 우수한 학생을 뽑는다는 취지로 영어 논술이나 영어 면접 등의 대학별 고사를 시행할 가능성도 높다. 

이런 점에 비춰 초.중.고교 과정에서 영어 사교육의 수요가 여전히 높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조치로 수학에 흥미가 없어 문과를 택한 학생의 경우 입시 관문을 통과하기가 훨씬 불리해졌다는 문제점도 있다. 

문.이과 모두 대입 당락에 수학의 영향력이 절대적으로 커졌기 때문이다. 

학생들의 재능과 적성, 선택의 다양성을 도외시했다는 점에서 제도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 

영어 절대평가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수학 영역도 절대평가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수능의 변별력이 상실되면 본고사 부활이 불가피해진다. 

이럴 경우 사교육시장이 오히려 지금보다 더욱 팽창하는 부작용을 불러오게 된다.

이번 조처가 궁극적으로 사교육비 경감을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감도 통계를 보면 회의적이다. 

통계청의 2012년 사교육비 의식조사 결과를 보면 수학의 사교육 참여율은 47.8%로, 영어 46.3%보다 높다. 

아울러 수학의 사교육비 총 규모가 6조원으로, 6조5천억원인 영어보다 조금 적지만 수학은 사교육비가 계속 증가하는 유일한 과목이다. 

수학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한 만큼 효과도 나오지않아 학생과 학부모가 어려움을 호소하는 과목이기도 하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도 인정한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비정상적일 정도로 뜨거운 교육열은 수능 한 과목을 조정해서 해결될 정도로 간단하지 않다. 

교육부가 일그러진 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바로잡기 위해선 교사와 학부모 등 교육전문가들의 견해를 폭넓게 듣고 이과와 문과의 특성에 맞춘 수능 과목과 배점의 차별화, 고교 교과 내용및 범위의 적정성, 고교 교육과 연계된 수능 평가방식 등을 두루 연구.검토해 종합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 

영어 절대평가제의 본격 실시에 앞서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