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헌법재판소 만 14세 합헌 판결

부산 ‘피투성이 여중생’ 사건에 이어, 인천 ‘여고생 폭력’ 사건까지 전국 곳곳에서 또래를 무차별적으로 때린 10대들의 폭행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부산과 인천에서 잇따라 학교 폭력 사건이 일어나자 시민들의 분노가 들끓고 있다.

특히 부산의 여중생 사건이 알려진 후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라온 소년법 폐지 청원에 나흘 만에 무려 20만 명이 참가할 정도로 소년법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는 높다.

소년법은 만 19세 미만에게 적용된다.

19세 미만의 소년들은 형법 9조에 따라 만 14세를 기준으로 '촉법소년'과 '범죄소년'으로 나뉘는데 촉법소년은 만 14세 미만을, 범죄소년은 만14세 이상을 이르는 말이다.

촉법소년은 범죄를 저질러도 처벌을 받지 않는다.

대부분 훈방 조처되거나 소년법에 의한 '보호처분'만 받는다.

보호처분에는 10가지가 있는데 사회봉사부터 소년원 위탁까지 수위가 각각 다르다.

범죄소년은 형사처벌을 받는다. 하지만 소년법에 따라 최대 형벌수위가 20년으로 제한되고 성인과 달리 감형도 받을 수 있다.

최근 인천 초등학생 살인 사건 때 경찰이 성인인 공범에겐 무기징역을 구형했지만 만 16세인 주범에게는 소년법에 따라 20년을 구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을 놓고 처벌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됐다.
소년법 개정 움직임은 곳곳에서 포착된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10대의 잔인한 범죄에 대해 처벌만이 능사는 아니지만 청소년범죄가 저연령화, 흉포화하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관련법 개정 논의를 신중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바른정당 김세연 정책위의장은 "미성년자라도 특정 강력범죄에 대해서는 처벌할 수 있다고 본다"는 의견을 밝혔다.

같은 당 하태경 의원은 소년법 적용 연령을 19세 미만에서 18세 미만으로 낮추는 내용의 소년법 개정안(소년흉악범죄처벌강화법)을 대표 발의했고 민주당 이석현 의원도 '형사 미성년자'의 최저 연령을 현행 만 14세에서 12세로, 소년법에서 소년부 보호사건 심리 대상의 범위를 현행 만10∼14세에서 10∼12세로 각각 낮추는 내용의 법안 개정안을 발의했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은 기자 간담회에서 "소년법 폐지 청원이 있다고 해서 (법률 자체를) 폐지할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법률 개정을)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헌법 재판소는 2003년 형사 미성년자를 만14세 미만으로 하는 형법 9조가 합헌이라고 판시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에도 전효숙 재판관 등은 "12세 미만의 청소년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에도 국가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방치하는 것은 범죄 피해자의 생명, 신체에 대한 보호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라는 보충 의견을 남겼다.

판단력이 미숙한 어린 나이에 성인에 준하는 수준의 처벌을 내릴 경우 범죄자 낙인효과 등 부작용이 크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소년법 개정으로 형벌을 강화하기보다 소년범을 '즉시 처분'하는 것이 범죄자 예방에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이수정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해외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국가에서 형사 미성년자를 14세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면서 "우리 청소년들이 해외 어린이들보다 조숙하다는 연구가 없어 나이를 낮추는 것에 더 신중해야 하고 이 나이 때는 강한 처벌과 범죄의 상관관계를 인지 못해 예방 효과도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