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제의 아들 해모가 나타나 북부여에 새로이 나라를 세웠는데~

만주에 부여라는 나라가 있었는데 북부여왕은 늙었으나 아들이 없어 산천을 두루 다니며 제사를 드리던 중 곤녕이라는 곳에 이르렀을 때 말이 큰돌을 보더니 눈물을 흘렸다. 왕이 이상하게 생각하여 사람을 시켜 그 돌을 굴러보니 한 어린아이가 개구리 모양으로 쪼그리고 있었는데 등에는 금빛이 찬란하였다.

왕은 하늘이 주신 아들이라 생각하고 크게 기뻐하며 아이 이름을 "금와"라고 하였다. 어느 날 천제(하느님)는 꿈에 나타나 "이 곳은 내 자손이 나라를 세우려고 하니 너희는 동해 바닷가 가섭원이라는 곳 에 도읍을 정하라." 라고 하여 북부여왕 해부루는 가섭원으로 나라를 옮기고 이름을 동부여라고 하였다. 그러자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고 하는 사람이 나타나 북부여에 새로이 나라를 세웠다. 한편 동부여에는 해부루왕이 죽자 금와가 왕이 되었다.

어느 날 금와왕은 사냥을 하다가 깊은 숲 속에서 유화라는 하백의 딸을 발견했다. 유화는 해모수라는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청년의 꼬임에 빠져 허락도 없이 혼인을 했다가 해모수가 없어지자 유화는 그의 아버지 하백에게서 버림을 받게 되었다고 하였다.

금와왕은 기이하게 여겨 유화를 데려다 작은 방에 가두었다. 그러던 어느 날 유화의 방에 햇빛이 비치고 큰 알을 낳게 되었다. 왕은 해괴한 일이라고 생각하여 알을 밖으로 내던져 버렸다. 그러나 알 주위를 지나는 모든 동물들이 피해가고 오히려 알을 품어 주었다. 그래서 왕은 알을 깨뜨리려고 했으나 깨어지지 않았다.

그리하여 알은 다시 유화에게로 돌아오고 알에서는 한 사내아이가 태어났는데 그 아이는 외모가 출중하고 영특하였으며 체격도 좋았다. 특히 활을 아주 잘 쏘았다. 그래서 그 아이 이름을 주몽이라 지었다.(그 당시에는 활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주몽이 모든 면에서 뛰어나자 금와왕의 왕자들은 주몽을 시기하고 질투하였다. 금와왕은 왕자들의 말을 듣고 주몽을 마굿간지기를 하게 하였다. 현명한 주몽은 명마를 굶겨서 삐쩍마른 말을 만들었는데 왕은 그 말을 필요없다고 하여 주몽에게 주었다.

그러나 금와왕의 맏아들 대소태자는 계속 주몽을 죽이려 하자 주몽은 어머니와 아내에게 하직 인사를 하고 임신한 아내에게 칼을 두동강 내어서 증표로 주면서 "일곱 모난 돌 위 소나무 아래 둘것이니 아들이 나거든 그 증표를 찾아서 오게 하라." 고 말하고 오리, 마리, 협부의 세 친구와 함께 명마를 타고 부여를 떠났다. 그런데 대소태자의 군사가 쫓아 왔지만 강에서 자라와 물고기들이 다리를 만들어 주어 무사히 강을 건널 수 있었으며 졸본 부여에 도착하게 되었다.

졸본 부여의 왕은 주몽의 뛰어남을 알아보고 둘째 공주를 시집보내어 사위로 맞아 그의 뒤를 이어 왕이 되게 하였다. 그리하여 주몽은 나라 이름을 '고구려'하고 나라를 세우니 이때가 주몽의 나이 22살이었으며 자신의 성을 '고'라고 지어 '이름이 '고주몽'이 되었다.

백제를 세운 온조는 고구려 시조인 주몽의 둘째 아들이다. 고구려, 신라와는 달리 알에서 깨어났다는 설화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백제의 시조 온조의 이야기는 대충 이러하다. 주몽은 졸본 부여에 와서 둘째 공주와 결혼하여 아들 둘을 낳았는데 첫째 아들은 비류이고 둘째 아들은 온조였다.

한편 주몽이 북부여에서 나올 때 두고 온 예씨 부인도 아들을 낳았는데 유리였다. 유리 태자가 졸본 부여에 와서 왕위를 이어받자 비류는 이 곳에 남아 있는 것이 불편할 것이라 생각하고 온조와 함께 오간, 마려 등 10여명의 부하들과 남쪽으로 내려가 그들을 따르는 백성들과 함께 한산에 이르러 사방을 둘러보니 들이 넓고 기름져서 농사를 짓고 살기에 좋아 보였다.

그러나 비류는 그 곳 땅이 못마땅하여 아우 온조와 나누어 미추홀(지금의 인천 부근)로 떠났고 온조는 하남 위례성(지금의 경기도 광주 부근)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십제'라고 하였다. 이때가 기원전 18년이었다.

한편 비류가 정착한 미추홀은 토지가 습하고 물맛이 짜서 살기에 적당하지 않아 비류를 따르던 백성들을 모아 다시 위례로 돌아왔다. 그 후 나라 이름을 '백제'라고 고쳤다.

서라벌은 기름지고 풍요로운 땅이었다. 이 곳에는 여섯 마을이 촌장을 중심으로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이 여섯 마을을 '진한의 6부'라고 하였다.

어느 날 여섯 마을의 촌장을 뽑는 회의를 하던 중 양산 촌의 '나정'이라는 우물 가 숲 속에서 찬란한 빛이 내리 뻗더니 그 곳에서 흰 말 한 필이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양산 촌의 촌장 '소벌공'이 가까이 가보니 말은 울음소리를 내며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그 자리에는 큰 알이 한 개 놓여져 있었다.

알에 손을 대자 껍질이 깨지며 아주 잘 생긴 사내아이가 나왔다. 여섯 촌장들은 아기를 꺼내어 깨끗이 씻었는데 몸에서는 광채가 났다. 아기는 고허 촌의 촌장 '소벌도리'에 의해 길러졌고 박처럼 큰 알에서 나왔다 하여 성은 "박", 이름은 나라를 밝게 비추어 준다고 하여 "불구내"라고 하였다. 그후 한참 뒤 빛난다의 뜻을 지닌 "혁"과 세상에 있다는 뜻의 "거세"로 바꾸어 이름을 "혁거세"라 하였다.

바로 이 날 사량리 알영이라는 우물가에서는 계룡 한 마리가 나타나 오른편 겨드랑이 갈비뼈 밑으로 여자아이를 낳았다. 얼굴은 유달리 고왔으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았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한 할머니가 월성 북쪽 냇가에 가서 목욕을 시켰더니 그 부리가 빠져 너무나 아름다운 여자아이가 되었다. 아이 이름을 우물의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고 하였다.

혁거세는 후에 알영과 결혼하여 신라를 다스리게 되었다. 6부 촌장들은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 하고 임금을 '거서간'이라 불렀다. 이때가 혁거세 나이 13세, 기원전 57년이었다. 

 간사회가 그를 환영의 극치인 ‘춤과 노래’로 스스럼없이 맞아들여 왕으로 삼은 영신(迎神)신화라는 데 특색이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