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식품 활성화를 위한 법적개선 및 산업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 절실

김철민 국회의원

김철민 의원(더불어민주당/안산 상록을)은 고령화 사회로의 진전으로 인해 고령친화산업 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데, 국내 고령친화식품산업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국내 고령자 식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오는 16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고령친화식품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토론 발제는 ▲‘우리나라 고령자의 영향실태’(김초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문위원) ▲‘고령자 식품의 기술발전 현황’(한국식품연구원 부원장) ▲’고령자 식품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및 산업 발전방안‘(김정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식품의약품정책연구센터장) 등 3개 분야 주제에 대해 발제한다.

이어서 박동준 학국식품연구원 부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는 패널토론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과 담당사무관, 김기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장, 김정년 한국식품산업협회 식품안전부장, 문명국 청운대학교 융합소재공학과 교수, 박기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박태균 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대표, 오동희 한국메디컬푸드 부사장 등이 참여한다.

최근 초고령화 사회로 진전됨에 따라 고령친화제품을 연구, 개발, 제조, 건축, 유통 또는 판매하는 ‘고령친화산업’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년에 65세 이상 국내 고령인구는 700만명을 돌파했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20% 이상)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고령친화식품의 경우 2012년 6조 4016억원에서 2020년에는 18조 6343억원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2007년 6월부터 ‘고령친화산업 진흥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기대만큼은 미흡하다.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중앙행정기관 8개 부처가 고령친화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나 전담부서와 인력, 예산 등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소화기능이 떨어지거나 노인성 질환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령자층을 위한 고령친화식품산업이 활성화돼야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자의 영양실태는 전체 노인의 절반정도만 양호하고 나머지는 영양관리의 주의 또는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식생활은 노인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고령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국내 고령친화식품산업의 육성과 활성화는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일본의 경우.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에 어려움을 느끼는 고령자식품을 일컫는 스마일케어식(smil care foods, 개호식품)등과 같은 고령친화식품의 개발보급 및 정부차원의 지원 등으로 우리나라에 비해 훨씬 노인들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의 개호식품의 종류에는 부드러운 식품, 점도조정식품, 종합영향식품, 수분보급형 젤리, 음료 등이 있다.

김철민 의원은 “더 이상 말로만 고령화 시대를 대비한다고 해서는 안 된다며 인구고령화 시대에 국내 고령자의 영양실태를 점검하고, 건강 및 신체상태 등을 고려한 고령친화식품의 정의와 유형개발, 고령자식품의 제조 및 생산기업체 지원, 기술개발, 제품개발 등을 위한 고령자 식품활성화를 위한 법적개선 등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